스테이블코인의 위상이 달라지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가치 저장 수단이자 결제 수단이기도 하지만 이제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실물 연계성을 갖춘 ‘디지털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국채에 대한 새로운 수요처로 떠오르며 전통 자산시장과의 연결고리를 빠르게 강화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 구조와 담보 방식에 따라 분류한 뒤, 각 유형이 미국 국채 시장과 어떤 방식으로 연계되고 있는지, 그리고 글로벌 결제, 유통 인프라 내 실사용은 어떻게 확산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내 제도적 공백이 향후 어떤 정책적 과제로 이어질 수 있는지도 함께 짚어본다.☞ 코빗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법적 고지서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아니라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리서치팀이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당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정확성이나 완벽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따라서 본 자료를 이용하시는 분은 자신의 판단으로 본 자료와 관련한 투자의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본 자료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본자료에 나타난 정보, 의견, 예측은 본 자료가 작성된 날짜 기준이며 통지 없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 .과거 실적은 미래실적에 대한 지침이 아니며 미래 수익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 원본의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당사는 본 자료를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의견은 자료 작성자의 개인적인 견해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에 나타난 견해는 당사의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본 자료와 다른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당사는 본 자료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않습니다. 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의견은 자료 작성자 개인적 견해로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당사에게 있고,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될 수 없습니다.
코빗(Korbit)
2025.06.25
기존 금융 결제 시스템 개요 및 주요 특징전통적인 금융 결제 시스템은 은행 및 금융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해 자금 이동을 처리합니다. 대표적으로 국제 송금망 SWIFT, 미국의 ACH(Automated Clearing House)와 같은 계좌 이체망, 그리고 신용카드 네트워크(Visa, Mastercard 등)가 있습니다.SWIFT 국제 송금망1970년대 도입된 글로벌 은행 간 메시징 네트워크로, 200여 국가의 11,000여 금융기관을 연결합니다. SWIFT 자체는 결제를 수행하지 않고 은행들이 송금 지시 메시지를 주고받도록 해주며, 실제 자금은 중개은행들을 거쳐 이동합니다.전세계적으로 하루 약 3000억 달러 규모의 거래를 처리하지만, 각 중개 과정에서 수수료와 지연이 발생해 송금 완료까지 수일(최대 5일)이 걸릴 수 있습니다. 최근 SWIFT gpi 등의 개선으로 약 90%의 국제 송금 메시지가 한 시간 내 목적지 은행에 도달하지만, 실제 수취계좌에 자금이 입금되는 데는 지역별로 편차가 커서 아프리카 등은 1시간 내 입금되는 비율이 23%에 불과합니다.비용 측면에서도 송금 은행 및 수취 은행 수수료, 다수 중개은행의 추가 수수료, 환율 마진 등 복합적 비용 구조를 띠어 고객이 체감하는 비용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 인도로 £50만을 송금할 때 표면상 수수료는 £35였지만, 환율 마진 등을 포함한 실제 총비용은 £5,535에 달해 150배에 이르렀습니다.이처럼 SWIFT 기반 국제 송금은 글로벌 접근성과 보안성(은행 간 검증) 측면에서는 표준이나, 속도 지연과 높은 비용이 단점으로 지적됩니다.ACH 등 계좌이체 망ACH는 미국의 자동화 청산소 망으로, 은행 계좌 간 대량 이체를 일괄 처리합니다. 급여 이체, 공과금 납부, 계좌간 송금 등에 널리 활용되며, 2024년 1분기에만 82억 건의 거래를 처리할 정도로 규모가 큽니다.특징은 저렴한 비용과 신뢰성으로, 건당 몇 센트 수준의 수수료로 대량 처리됩니다. 하지만 속도는 일반적으로 1~3 영업일이 소요되고 정해진 배치 시간에 일괄 처리되며, 영업시간 외나 주말에는 처리가 지연됩니다.일부 당일 ACH 옵션이 생기고 있으나 거래당 한도가 낮고 모든 은행이 지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ACH 이체는 오류 발생 시 며칠 내 거래 취소나 조정도 가능해 안정성을 높였지만, 즉시성은 부족합니다. 한편 미국 내 고액 전신환(Fedwire)은 RTGS 방식으로 즉시 처리되나 수수료가 비싸고 은행 영업시간에만 가동됩니다.신용카드 결제 네트워크Visa, Mastercard 등 글로벌 카드사는 소비자와 가맹점 간 결제를 실시간 중계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운영합니다. 카드 결제는 즉각적인 승인으로 소비와 판매가 이루어지며, 연중무휴 수초 내 처리가 가능합니다.Visa는 이론적으로 초당 65,000건 이상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을 만큼 확장성이 높고, 실제로도 피크 시 수천 TPS를 처리하여 전 세계 수백 억 건의 연간 거래를 지원합니다. 결제 확정성 면에서 카드사는 거래 승인을 보증하지만, 청구 정산은 다음 영업일에 이뤄지고 소비자에게 일정 기간 청구 취소(차지백) 권리가 부여되는 등 가역성이 있습니다.비용 구조는 비교적 복잡하며, 소비자는 보통 수수료를 느끼지 못하지만 가맹점이 수수료를 부담합니다. 비자 등 카드 네트워크 자체의 중계 수수료는 거래당 $0.15 정도로 미미하지만, 발행사와 매입사 등의 중개 참여자들이 부과하는 수수료를 합치면 가맹점이 내는 총 수수료는 거래금액의 약 3% 수준까지 올라갑니다.카드 결제망은 광범위한 가맹점망과 소비자 보호(부정거래 차단, 포인트/마일리지 혜택 등)의 장점이 있지만, 높은 수수료와 국경 간 이용 시 추가 비용 등이 단점입니다.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시스템 개요 및 주요 특징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 가치에 연동되어 가격 변동성이 매우 적은 가상자산을 의미합니다. 주로 미국 달러에 1:1로 연동된 형태가 많으며(달러 스테이블코인), 대표적인 예로 USDT(테더), USDC(USD 코인), DAI 등이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24시간 글로벌 전송이 가능하고, 가치 변동성이 거의 없어서 디지털 현금처럼 활용됩니다.USDT (테더)시가총액 기준 최대 규모의 스테이블코인으로, 2023년 기준 약 830억 달러 이상의 공급량을 기록하였습니다. 달러 예치금과 채권 등으로 1:1 담보되며 테더사가 발행합니다. 가장 오랜 역사(2014년 출시)를 지닌 만큼 가상자산 거래소 간 송금, 국가 간 자금 이동 등에 널리 쓰입니다.다양한 블록체인에서 발행되어 이용 편의성이 높지만, 한때 준비금 투명성 논란이 있었고 발행사가 중앙에서 특정 주소를 동결할 수 있는 권한도 갖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거래량 측면에서는 가상자산 시장에서 압도적으로 커서, 일부 국가에서는 달러 현찰보다 USDT를 더 선호하는 현상도 나타납니다.USDC (USD 코인)미국의 서클(Circle)과 코인베이스가 공동 설립한 컨소시엄이 발행하는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입니다. 미화 현금 및 단기 국채 100% 준비금으로 담보되고 회계법인의 월간 감사/투명성 보고서를 통해 준비금 현황을 공개하는 등 투명성과 규제 준수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입니다.USDT보다 시가총액은 작지만(약 250억 달러 규모), 규제 친화적 설계로 금융기관 및 기업과의 제휴 사례(Visa의 결제 정산 파일럿 등)도 많습니다. 이더리움, 솔라나, 트론 등 여러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며, 송금 속도와 수수료는 사용하는 블록체인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수분 내 결제가 완료됩니다.DAI탈중앙화 금융의 대표격인 메이커다오(MakerDAO) 프로토콜에서 발행하는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입니다. ETH, USDC 등 가상자산 담보를 초과 예치하여 생성되며, 중앙 발행주체가 없고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공급이 조절됩니다.가치 안정 메커니즘은 과담보 및 알고리즘에 기반하며, 완전한 탈중앙화를 추구하지만 발행량은 위 두 스테이블코인보다 적고 주로 블록체인 생태계 내에서 활용됩니다. 가격 안정성은 담보 자산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지만, 시장 충격에도 1달러 근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 사례가 많습니다.이들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의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1) 블록체인 상에서의 프로그래밍 가능 거래(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조건부 결제 등 지원), 2) 글로벌 호환성 (인터넷만 되면 지갑 주소로 전송 가능), 3) 실시간 결제(은행 영업시간과 무관하게 24/7 결제) 등을 들 수 있습니다.또한 거래 내역이 퍼블릭 블록체인에 투명하게 기록되어 누구나 원장 조회가 가능하고, 발행량 조절도 온체인 데이터를 통해 추적됩니다. 다만 발행 주체의 신뢰성(준비금 관리)과 각국 규제의 승인 여부에 따라 사용 환경이 좌우되며, 전송 수수료와 속도는 사용되는 블록체인 성능에 의존합니다.예를 들어 솔라나 같은 고성능 체인은 초당 수천 건의 거래 처리와 5초 내 결제 확정이 가능해 스테이블코인 결제 활용이 늘고 있고, 이더리움 레이어2는 이더리움 메인넷의 보안성과 보다 낮은 수수료를 바탕으로 결제에 활용되고 있습니다.두 시스템 간 비교 (비용, 속도, 확정성 등)기존 중앙은행의 실시간 결제망은 국제송금에는 여전히 기존 은행망을 사용해야 하는 한계를 가집니다. 반면 스테이블코인은 국제 간 직접 결제에서는 큰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통 금융결제망과 스테이블코인 결제망을 여러 측면에서 비교해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비교 항목기존 금융 결제 시스템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결제 비용- 다단계 중개로 누적 수수료 발생- 국제 송금 시 은행 및 중개은행 수수료와 환전 마진 고비용- 카드 결제 가맹점 수수료 약 2–3%- 블록체인 네트워크 수수료만 부담- 송금 자체는 저렴하거나 고정비 없음 (대규모 국제 송금에 특히 유리)- 단, 법정화폐 환전 시 별도 수수료 발생 가능결제 속도- 국내 송금: 수시간~1일 소요- 국제 송금: 수일 소요 빈번- 카드 결제: 승인 즉시 처리되나 정산 지연 (하루 이상)- 영업시간 영향 받음(주말·야간 지연)- 24시간 실시간 송금 가능- 대부분 수초~수분 내 블록체인 상 결제 완료- 지리적 제약 없음- 단, 블록체인 혼잡 시 지연 및 높은 수수료 가능결제 확정성- 은행 송금 대부분 불가역적 (wire 송금), ACH는 일정 기간 내 취소 가능- 카드 결제는 수개월 내 차지백(결제 취소) 가능- 블록체인 거래는 불가역적이며 결제 확정되면 번복 어려움- 최종결제성 높아 후속 분쟁 적음- 단, 송금 오류 시 복구 어려움- 일부 중앙화 스테이블코인은 주소 동결 등 예외적 조치 가능글로벌 접근성- 은행·카드 인프라 지역에서만 가능- 계좌 개설·KYC 필수- 국제망 미가입 지역 접근 제한- 제재 국가 등 배제됨- 인터넷만 있으면 전 세계 어디서나 접근 가능- 개인 지갑 통해 언제든 송금/수취 가능- 단, 현금화 및 실사용 위해 현지 온오프램프 필요 (규제 따라 제한 가능)확장성- 중앙집중식 시스템으로 TPS 확장 용이- Visa 등 초당 수만 건 처리 가능- 성수기에도 안정적 대응 가능- 퍼블릭 블록체인은 노드 합의 방식으로 TPS 제한- 성능 제약 존재 (이더리움 ~15 TPS)- Solana 등 신규 블록체인은 높은 TPS로 개선 진행 중- 레이어2와 사이드체인 통한 확장성 향상 노력투명성- 일반 사용자는 거래 과정 확인 불가- 송금 경로 추적 어려움, 중개 수수료 투명성 부족- 감사 및 기록 폐쇄형 장부에 저장- 모든 거래 내역 공공 장부에 기록, 투명성 높음- 누구나 거래 여부 확인 가능- 프로토콜 기반 자동 정산으로 데이터 위변조 어려움- 단, 익명성으로 인한 부정사용 우려 존재규제/준법- 각국 금융규제 체계에 편입- KYC/AML, 예금자 보호, 소비자 보호 등 법적 안전망 존재- 규제 정립 중으로 불확실성 존재- 대형 금융기관들도 파일럿 단계에서 점진적 도입- 일부 스테이블코인은 발행사 주도로 주소 동결 등 규제 준수 기능 갖추는 중위 표에서 보듯 속도와 비용 측면에서는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국제 거래에서 매우 경쟁력이 있습니다. 수백만 달러를 전통망으로 보내면 며칠 걸릴 일이 스테이블코인으로는 몇 분 만에 가능하므로, 크로스보더 결제에 혁신적인 대안이 되고 있습니다. 반면 규모 확장성이나 규제 편의성 측면에서는 전통 시스템이 아직 우위에 있고, 스테이블코인은 제도권 편입 과정에서 규제준수 기능을 갖춰가며 보완재로 활용되는 추세입니다.각 시스템의 장점과 단점기존 금융 시스템의 장점오랜 기간 구축된 신뢰성과 안정성이 가장 큰 강점입니다. 은행망과 카드망은 광범위한 사용자 저변을 확보하여 어디서나 통용되고, 법적 보호 장치와 소비자보호 프로그램(부정거래 차단, 결제 분쟁 시 차지백 등)으로 안전성을 제공합니다.또한 거래 처리 용량이 충분해 대량의 트랜잭션을 안정적으로 처리하며, AML 모니터링 등 각종 규제 준수 도구가 이미 내재화되어 제도권 수용성이 높습니다. 금융기관의 대면 서비스 및 지원 역시 이용자 신뢰를 높이는 요소입니다.기존 금융 시스템의 단점속도 저하와 높은 비용은 전통망의 대표적 약점입니다. 국제 송금시 SWIFT를 통한 다단계 중계로 며칠씩 지연되고 비용도 많이 들며, 카드 결제의 경우 수수료 부담이 가맹점에 전가되어 소규모 영세업자나 저마진 업종에 비용 압박이 큽니다.운영 시간 제약(은행 영업시간이나 휴일)에 따라 실시간 처리가 안 되는 경우가 있고, 비효율적인 중개 프로세스로 인해 잦은 오류 조정이나 사기 발생 시 대응에 시간이 걸립니다. 또한 개발도상국이나 금융소외 계층은 은행 계좌나 신용카드 접근이 어려워 글로벌 포괄성이 제한되는 문제도 있습니다.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의 장점24/7 가용성과 즉시성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언제든지 인터넷만 연결되면 국경을 넘어 몇 분 내 결제가 완료되고, 중개자 없는 직접 송금으로 수수료를 크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특히 거액의 국제 송금이나 해외 송금에서 비용·시간 측면 혁신을 이룹니다. 블록체인 상 거래는 투명하게 기록되어 필요 시 감사나 추적이 가능하고, 프로그램 가능 화폐로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자동화 결제, 조건부 지불 등이 구현 가능해 금융 서비스 혁신의 기반이 됩니다.또한 디지털 형태로 소액 결제부터 거래소 결제, 디파이까지 연계되어 활용 범위가 넓습니다. 무엇보다 달러화에 페그된 스테이블코인은 인플레이션 국가에서 달러 대체수단으로 각광받아, 개발도상국 국민들이 자국 통화 가치 하락을 헤지하고 달러에 접근하는 창구 역할도 합니다.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의 단점규제 불확실성과 신뢰 문제가 현 단계의 단점입니다. 법정화폐 대비 발행사가 파산하거나 담보 자산에 문제가 생길 경우 이용자 보호 장치가 미비하고, 예금자보호 같은 안전망이 없습니다. 일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은 실패 사례(테라 사태 등)에서 보듯 페그 유지 리스크도 존재합니다.또한 프라이빗 키 관리 등 기술적 허들이 있어 일반 대중이 직접 이용하기엔 진입장벽이 있고, 거래 시 오입력으로 잘못 보낸 돈은 되돌리기 어려운 비가역성의 위험도 있습니다. 사이버보안 측면에서 사용자가 직접 지갑을 관리해야 하므로 해킹에 취약할 수 있고, 익명성을 악용한 자금세탁 우려로 각국 정부의 규제 압력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마지막으로 현 시점에서는 일상적인 소매 결제에서 법정통화만큼 폭넓게 받아들여지지 않아 실물 경제 수용성 면에서 한계가 있지만, 이는 점차 개선되고 있습니다.실제 사례 분석: 스테이블코인 결제 도입 현황스테이블코인의 장점을 활용하여 기업들과 금융업계가 결제 혁신에 나선 사례들이 늘고 있습니다.Visa의 USDC 결제 정산 파일럿글로벌 카드사 비자는 2021년부터 자체 네트워크 정산에 스테이블코인 USDC를 활용하는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크립토닷컴의 비자 카드 사용자 결제분을 전통적 은행송금 대신 이더리움 블록체인상의 USDC로 비자에 정산하는 파일럿을 성공시켰고, 이를 통해 국경 간 정산 시간을 기존 며칠에서 당일 수준으로 단축했습니다.2023년에는 이 실험을 발전시켜 Solana 블록체인까지 지원하고 대형 매입사와 협업하여, 비자 카드 결제대금을 가맹점에 정산하는 단계에도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Visa 사례는 전통 금융사가 스테이블코인을 백엔드 인프라에 통합함으로써 효율을 높인 사례로, 향후 카드 결제망과 스테이블코인의 공존 가능성을 보여줍니다.국제 송금사 머니그램의 스테이블코인 도입세계적인 송금 서비스 업체 머니그램은 2021년 스텔라 블록체인과 제휴하여, USDC를 통한 국제 송금 및 현금화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사용자가 머니그램 지점에서 현금을 USDC로 전환해 블록체인으로 송금하고, 다른 국가 지점에서 다시 현금으로 인출할 수 있는 현금-크립토 간 교환 서비스를 구축한 것입니다.이를 통해 전통 SWIFT 망에 의존하던 해외송금을 거의 실시간에 수수료 저렴한 프로세스로 혁신하였고, 머니그램 CEO는 "스테이블코인이 국경 간 지급결제를 간소화할 방법에 대해 매우 낙관적"이라 언급했습니다. 이 사례는 글로벌 송금 산업에서 스테이블코인이 비용 절감과 속도 개선을 시도한 대표적 케이스입니다.대형 핀테크 기업들의 활용페이팔은 2023년 자체 달러 스테이블코인 PYUSD를 발행하여 자사 네트워크에 통합하기 시작했고, 마스터카드 역시 스테이블코인과 연동한 결제 카드를 출시하는 등 핀테크 및 카드사들의 실험이 활발합니다.JP모간 은행은 자체 JPM 코인을 통해 매일 약 10억 달러 규모 결제를 처리하며, 은행 간 결제 인프라로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소시에테제네랄 은행은 유로 연동 스테이블코인(EURCV)을 발행해 기관투자자와 일부 소매고객에 활용하는 등 전통 금융권도 발행 주체로 참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사례들은 전통 금융과 스테이블코인의 경계가 점차 허물어지는 추세를 보여줍니다.상거래 및 소매 분야의 도입온라인 가상자산 결제 플랫폼들을 통해 일부 리테일 기업들은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받기 시작했습니다. 오버스톡은 일찍부터 가상자산 결제를 도입했고, 치폴레, 월마트 계열 홀푸드, 게임스탑 등도 서드파티 결제 앱을 통해 USDC 등 스테이블코인 지급을 실험하거나 도입하고 있습니다.스페이스X도 기업 재무에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는 대표적 사례로 언급되며, 개발도상국에서는 기업들이 해외 거래대금을 테더로 결제하거나 프리랜서 대금을 USDC로 지급하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브라질에서는 수출입 기업이나 해외 IT 프리랜서들이 직접 스테이블코인으로 대금을 주고받아, 전통 송금 대비 수수료 0에 가까운 빠른 정산을 실현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실제 사례들은 산업 전반에 스테이블코인 활용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성과로서 결제 시간 단축, 수수료 절감, 금융 접근성 개선을 입증하고 있습니다.향후 전망: 대체재 vs 보완재스테이블코인이 향후 기존 금융 시스템을 완전히 대체할지, 아니면 보완재로 공존할지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일부 영역 대체 가능성국경 간 송금이나 디지털 자산 결제 분야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이 기존망을 부분적으로 대체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미 전통망의 한계를 느낀 기업과 개인들이 스테이블코인을 선호하기 시작했고, “과거 며칠 걸리던 거액 해외송금을 이제는 몇 분만에 처리함으로써 스테이블코인이 기존망의 고질적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은 기존의 SWIFT, Visa, Mastercard와 같은 레거시 결제망을 대체하고 금융 서비스의 판도를 바꿀 잠재력이 있으며, 특히 제한된 금융 환경의 국가들에 달러 접근성을 확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효율성과 속도 측면에서 우월한 스테이블코인이니 만큼 특정 용도에서는 기존 시스템을 밀어낼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전통 금융의 대응과 공존한편 기존 금융기관들도 가만히 있지 않고 대응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Visa의 사례처럼 전통 결제망에 스테이블코인을 통합하거나, SWIFT가 자체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디지털 자산/통화의 상호운용성을 실험하는 등 융합 전략이 두드러집니다.이는 스테이블코인이 완전한 대체보다는 기존 시스템에 흡수·통합되어 공존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은행들은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이나 파일럿을 통해 기술을 선제 도입하고 있으며, 규제당국도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으로 편입해 안정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앞으로는 CBDC의 도입과 함께 민간 스테이블코인과의 공존 규칙이 마련되어, 두 형태의 디지털화폐가 전통 결제망을 보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보완재로서의 지속 가능성현실적으로 가까운 미래에 스테이블코인이 현금이나 기존 계좌이체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오히려 보완재로서, 현행 시스템으로 커버하기 어려운 니치 영역(소액 해외송금, 글로벌 소매상 간 결제, 디지털자산 결제 등)을 파고들어 병행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스테이블코인이 전통망에 비해 가지는 비가역성, 변동성 리스크(페깅) 등의 특성은 어떤 사용처에서는 불리할 수 있어, 소비자 보호가 중요한 소매금융 등에서는 기존 시스템이 주력을 유지하며 스테이블코인은 부가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습니다.실제로 2025년 현재도 스테이블코인은 소액결제 시장(P2P 송금 등)에서는 기존 실시간 결제망에 비해 이점이 크지 않아 보완재 수준이지만, 국제결제에서는 필수적인 새로운 옵션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향후 규제와 신뢰의 구축스테이블코인이 주류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규제 신뢰 확보가 관건입니다. 미국, EU, 싱가포르 등 주요국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에 대한 자본요건과 자산보호 규정을 법제화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규제 명확성이 확보되면 전통 금융권도 안심하고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할 전망입니다.규제가 정비되고 대중의 신뢰가 쌓인다면, 스테이블코인은 현재의 전자화폐나 은행예금처럼 일상화된 결제수단으로 격상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디지털 시대의 글로벌 머니무브 인프라”로서 스테이블코인이 자리잡되, 기존 금융 시스템은 중개와 감독의 역할로 재편되어 양자가 결합된 새로운 금융 구조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컨대 은행이 스테이블코인 예금 서비스를 제공하고, 카드사는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지원하는 식으로 역할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결론적으로,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은 기존 금융 시스템과 경쟁하면서도 협력적인 방향으로 진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단기적으로는 특정 영역에서 경쟁력 우위를 보여 기존 방식을 대체하거나 혁신을 촉발하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전통 금융의 포용과 통합을 통해 새로운 하이브리드 결제 생태계를 형성할 전망입니다.결국 사용자는 더 빠르고 저렴한 국제결제와 안전하고 신뢰 가능한 금융서비스라는 두 가지 이점을 모두 얻는 방향으로 시장이 재편될 것이며, 스테이블코인은 그 변화의 중요한 축이 될 것입니다.Referenceshttps://www.lightspark.com/blog/payments/swift-alternatives-2025?ref=academy.gopax.co.krhttps://stripe.com/resources/more/ach-payments-vs-wire-transfers-differences-similarities-and-how-to-choose?ref=academy.gopax.co.kr#:~:text=ACH%20payments%20are%20electronic%20payments,security%20and%20reliability%20of%20transactionshttps://lumx.io/blog-posts/stablecoins-already-make-international-payments-cheaper-and-will-transform-the-brazilian-market?ref=academy.gopax.co.krhttps://www.finextra.com/the-long-read/1252/banking-the-future-stablecoins-pave-the-way-in-2025?ref=academy.gopax.co.kr#:~:text=both%20businesses%20and%20individualsDisclaimer: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일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추천이나 법률, 사업, 투자, 세금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거나 회계, 법률, 세무 관련 지침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특정 자산에 대한 언급은 단지 참고용 정보일 뿐, 투자 권유의 의미가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의견은 관련된 기관이나 조직, 혹은 개인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고팍스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고팍스(GOPAX)
2025.05.29
가상자산 시장에서 현금과 같은 역할을 하는 스테이블코인은 이제 가상자산 시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2024년 12월 말 기준 전체 가상자산 시장 거래량의 42.88%를 차지했습니다. 이 때문에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 동향은 가상자산 시장의 중요한 변수로 거론돼 왔습니다.특히 지난 2024년 6월 시행된 유럽연합(EU) 27개 회원국 대상 가상자산 규제법 미카(MiCA)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는 많은 업계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미카는 EU가 가상자산 시장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법으로,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첫째, 가상자산을 발행하는 사업자들이 백서 발행을 의무화해야 합니다. 발행자는 백서에 자산의 성격, 위험, 발행 목적 등을 명시한 백서를 공개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가상자산사업자들이 투자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투명성을 강화하고 허위 정보를 통해 투자자를 오도하지 못하도록 규정합니다.둘째, 거래소 및 지갑 서비스 제공자 등 가상자산 관련 서비스 제공업체는 규제 당국으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또 이 제공업체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자본과 위험 관리를 충족해야 합니다.셋째,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업체는 자금세탁방지(AML) 및 테러자금 조달 방지를 위한 강력한 내부 관리 체계 구축해야 합니다.넷째, 스테이블코인을 통상적인 가상자산과는 다른 가상자산으로 보고 규제합니다. 미카는 스테이블코인을 크게 참조자산연계토큰(ART)과 전자화폐토큰(EMT)으로 구분했습니다. ART는 법정화폐, 원자재 등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을 뜻합니다. 이 스테이블코인에는 신세틱스, 팍소스골드 등이 포함됩니다. EMT는 법정화폐와 정확히 1:1로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잘 아는 테더가 이 스테이블코인에 속합니다.미카 규제를 준수해야 하는 EU 회원국들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자는 유럽 은행감독청(EBA) 등 규제 기관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또 발행자는 항상 충분한 준비금을 보유해야 합니다. 준비금은 투자자 요청 시 언제든 현금으로 상환 가능해야 합니다.미카는 또 스테이블코인이 유로화와 같은 주요 법정화폐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하기 위해 특정 거래량 초과 시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채택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미카에서는 가상자산 채굴 활동의 에너지 소비량을 보고하도록 요구합니다. 또 사이버 보안 기준과 관련해서는 가상자산 보안과 관련한 기술적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했습니다.미카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는 가상자산 시장에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의미를 가져다 줍니다.첫째, 금융 안정성을 강화합니다. 미카는 준비금 요건과 발행 허가 절차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이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이 법정화폐와 유사한 역할을 할 경우,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호하는 데 기여합니다.둘째, 투자자 신뢰를 제고하게 합니다. 스테이블코인의 투명성과 안전성을 보장하여 투자자들이 신뢰를 갖고 가상자산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셋째, 시장 통합 및 성장 촉진에 기여합니다. 미카는 EU 전역에서 일관된 규제를 도입함으로써 각국의 규제 차이를 줄이고 단일 시장으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이는 더 많은 기업과 투자자들이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넷째, 글로벌 규제 기준 수립에 기여합니다. 미카는 가상자산 규제의 중요한 글로벌 기준 중 하나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를 포함해 이 정도로 가상자산 전분야에 걸친 광범위한 규제를 마련한 것은 미카가 처음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국가 및 지역에서도 미카를 참고해 유사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할 수 있습니다.다섯째, 스테이블코인 규제와 기술 발전 간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사례로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미카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의 위험을 관리하면서도 규제된 환경에서 혁신이 지속되도록 지원하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실제로 2024년 6월 미카가 최초로 시행되고 같은 해 12월 이 법의 완전한 시행이 이뤄졌을 때 테더사가 미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EU 시장에서 철수한 바 있습니다. 이는 테더가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필요한 유럽 지역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즉, 미카의 시행은 이미 글로벌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뜻입니다. 다만 테더는 유럽 지역 협력사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유럽 시장에 진출할 예정입니다.갈수록 그 중요성이 커져가는 스테이블코인 시장 속에서 2025년에는 미카가 어떤 파급력을 가져다줄지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본 자료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에 대하여는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없으며, 투자자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입니다.- 투자 여부, 종목 선택, 투자 시기 등 투자에 관한 모든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주)빗썸에 있으며,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빗썸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빗썸(bithumb)
2025.01.24
주요 내용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 사례 중 하나이며, 그 규제는 향후 블록체인 및 분산 원장 기술 규칙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스테이블코인 규제는 2019년 페이스북의 리브라 프로젝트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2022년 테라 UST의 붕괴 이후 더욱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규제는 종종 기술 발전을 뒤따르지만, 새로운 기술에 대한 법률은 유연하고 미래 지향적이어야 합니다.스테이블코인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1) 실물 자산 연동형, (2) 디지털 자산 담보형, (3) 알고리즘형. 첫 번째 유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또한 가장 많이 규제되고 있습니다.규제는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EU, 두바이, 싱가포르는 이미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했으며, 영국은 철저한 분석과 이해 관계자와의 협의를 우선시하는 단계별 전략을 선택했습니다.미래지향적인 스테이블코인 규제는 더 개방된 금융 시스템을 위한 글로벌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데 필수적입니다.서론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의 가장 실용적인 적용 중 하나로 부상하며, 디지털 금융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 자산은 전통적인 통화나 기타 자산에 고정되어 안정적인 가치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안정성과 함께 블록체인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결합한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금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스테이블코인은 일상적인 거래, 국경 간 결제, 글로벌 금융 시스템을 혁신할 수 있습니다. 이들의 성장으로 인해 규제 당국은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규제 당국은 혁신과 금융 안정성, 소비자 보호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지나치게 엄격한 법률은 혁신을 억제할 수 있지만, 반면에 너무 느슨한 규제는 소비자 안전과 금융의 무결성을 위태롭게 할 수 있습니다.현재 미국과 EU 같은 주요 시장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두바이와 같은 다른 주요 지역에서도 스테이블코인 규제의 실시간 발전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 노력이 스테이블코인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발행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명확성, 신뢰성, 법적 확실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어떻게 발전하는지는 블록체인 산업 전반의 규제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스테이블코인 규제의 발전 타임라인스테이블코인 규제 발전은 스테이블코인 공간에서 글로벌 규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 두 가지 중요한 사건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첫 번째 사건은 2019년 페이스북이 발표한 리브라 프로젝트(나중에 디엠으로 리브랜딩됨)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글로벌 디지털 통화를 만들려는 시도로, 전 세계 규제 당국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리브라는 전통적인 금융을 교란시키고 광범위하게 채택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규제 당국은 금융 안정성과 소비자 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스테이블코인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두 번째 사건은 2022년 5월 테라USD(UST)의 붕괴입니다.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이었던 테라USD는 약 187억 달러의 시가총액을 기록했지만, 이후 크게 급락하며 많은 소비자에게 막대한 투자 손실을 초래했습니다. 이 사건은 복잡한 메커니즘에 의존해 가치를 유지하는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의 내재적 위험성을 보여주었습니다.이에 따라 전 세계의 규제 당국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포괄적인 규제를 마련하는 데 박차를 가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에서는 테라USD의 붕괴 이후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을 전면 금지하자는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소비자 보호를 우선하는 경향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은 시장에서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을 금지하고 있으며, MiCA(Markets in Crypto-Assets) 규제 하에서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통합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와 두바이 같은 국가들은 금융 생태계 내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안전하고 투명한 운영을 보장하기 위한 자세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스테이블코인의 다양한 유형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의 유형은 주로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국의 입법적 틀에 따라 다른 용어와 분류 기준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현재 각국의 사법 기관이 새로운 법률 및 예정된 법률을 어떻게 해석하고, 기존 및 미래의 스테이블코인을 최종적으로 어떻게 분류할지는 두고 봐야 할 문제입니다.법정화폐 연동 스테이블코인법정화폐 연동 스테이블코인은 전통적인 법정화폐를 담보로 한 디지털 자산입니다. 이 유형의 스테이블코인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동시에 가장 널리 규제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관할 구역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을 관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용어와 규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카테고리의 스테이블코인 규제는 발행자가 적절한 라이선스를 취득하고, 특정 수준의 준비금과 구성을 유지하며, 높은 투명성을 보장하고, 기존 자금세탁방지(AML) 및 고객 알기(KYC) 규정을 준수하도록 요구합니다.자산 기반 스테이블코인오늘날 가장 큰 자산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가상자산과 기타 실물 자산의 조합으로 담보되어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으며, 디지털 자산만을 담보로 했던 DAI 같은 자산 기반 스테이블코인도 미국 국채와 같은 실물 자산을 담보로 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크립토 자산 기반’ 프로토콜이 전통 금융 시스템과 통합되는 더 하이브리드화된 스테이블코인 모델의 출현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이 카테고리는 시장 자본화 측면에서 법정화폐 연동형 스테이블코인보다 작으며, 현재까지는 상대적으로 적은 규제의 주목을 받았습니다.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과거의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은 발행 및 소각 시스템을 통해 토큰의 유통량을 조정함으로써 고정을 유지하고자 했습니다. 디지털 자산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비해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은 종종 과소 담보화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 카테고리는 2022년 테라 UST의 붕괴 이후 거의 사라졌으며, 현재 규제 당국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MiCA 규제와 미국의 제안된 Lummis-Gillibrand 법안 모두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을 전면 금지하고 있습니다.현재 시장에서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수요는 낮지만, 혁신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균형 잡힌 규제 접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일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이 과거에 큰 어려움을 겪었지만, 완전한 금지는 이 분야에서의 새로운 발전과 개선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주요 규제 기관의 개요이 섹션에서는 각국의 주요 규제 기관들이 스테이블코인 규제에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아래 표는 각 관할 구역에서 스테이블코인 규제 및 규제 용어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비교를 정리한 내용입니다.6개 관할 구역에서 사용되는 스테이블코인 규제 용어 비교관할 구역관련 법률 또는 프레임워크규제 범위발행 규정준비금 유지 규정상환 규정EUMiCA(발효 중)모든 암호 자산 포함, NFT와 완전히 탈중앙화된 암호 자산 서비스는 제외발행자는 전자화폐 기관(EMI) 또는 신용 기관으로 등록된 EU 법인이어야 함적어도 준비금의 30%를 신용 기관에 별도 계좌로 보유해야 함상환 창구 미정. 적시에 상환해야 함미국Lummis-Gillibrand 법안(제안됨)'결제 스테이블코인'(법정화폐 연동형 스테이블코인)만 포함비은행 발행자는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에 등록되어 있어야 함. 발행 제한은 100억 달러발행자는 모든 결제 스테이블코인의 명목가치 100%에 해당하는 준비금을 유지해야 함고객의 상환 요청을 받은 후 늦어도 1 영업일 이내 상환해야 함영국암호 자산 규제 1단계: 스테이블코인 논의서(FCA 발표)'법정화폐 연동 스테이블코인'만 포함발행자는 FCA의 허가를 받아야 함충분히 안정적이고 유동성 있는 준비 자산을 유지해야 함신속한 상환이 이루어져야 함UAE결제 토큰 서비스 규제(발효 예정)'결제 토큰'(법정화폐 연동 스테이블코인)만 포함발행자는 UAE에 법인을 설립해야 함준비금은 현금으로 유지하고 에스크로 계좌에 예치해야 함상환은 늦어도 다음 영업일 내 완료해야 함일본결제 서비스법(2023년 개정)'전자 결제 수단'으로만 발행 가능은행, 자금 이체 서비스 제공자, 신탁 회사만 발행 가능준비 자산을 저위험, 고유동성 자산으로 보유해야 함지연 없이 상환해야 함싱가포르MAS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워크(발효 중)싱가포르 달러 및 G10 통화 연동 스테이블코인만 포함발행자는 싱가포르에 설립된 법인이어야 함발행자는 최소 100%의 준비금을 유지해야 하며, 저위험, 고유동성 자산으로 보유해야 함상환은 5 영업일 이내 완료해야 함유럽연합(EU)EU는 현재 MiCA(시장 내 암호 자산) 규제를 통해 포괄적이고 조화로운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규제는 모든 EU 회원국에서 스테이블코인의 발행과 운영에 대한 일관된 법적 환경을 제공합니다. MiCA는 시장 참여자에게 법적 명확성을 제공하여 규제 단편화를 줄이고 새로운 비즈니스와 혁신을 촉진합니다.MiCA는 스테이블코인을 전자화폐 토큰(EMTs)과 자산 연동 토큰(ARTs)으로 분류합니다.EMT: 법정화폐로 담보된 스테이블코인으로, 발행자는 전자화폐 기관(EMI) 또는 신용 기관으로 등록되어야 하며, 상환을 위한 유동성 준비금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 중 적어도 30%는 별도 계좌에 보관해야 합니다.ART: 다양한 자산으로 담보된 스테이블코인으로, 발행자는 엄격한 준비금 관리 및 위험 관리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일일 거래량이 100만 건을 초과하거나 발행액이 50억 유로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고 있습니다.MiCA는 완전히 탈중앙화된 암호 자산 서비스는 규제 범위에 포함되지 않지만, 중앙화된 프론트엔드를 가진 DeFi 프로토콜은 기존 금융 서비스와 동일한 KYC(고객 알기) 요건을 준수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많은 DeFi 프로토콜에 상당한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규제는 2024년 12월에 완전히 시행될 예정입니다.미국스테이블코인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이 미국 달러로 표시되어 있어 미국 의회에서 스테이블코인 규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규제 시스템은 여러 주 및 연방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규제는 매우 복잡합니다. 증권거래위원회(SEC),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통화감독청(OCC) 및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Federal Reserve) 등이 스테이블코인을 규제하고 있으며, 각 기관은 서로 다른 해석과 집행을 보입니다.현재 미국에는 통합된 연방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워크가 없지만, 기존의 규제는 여전히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 재무부 산하 금융범죄단속국(FinCEN)은 스테이블코인을 가상 화폐로 간주하여 은행 비밀법(BSA)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EU의 MiCA와 같은 포괄적인 규제는 아직 마련되지 않았으며, 주로 다양한 규제 기관과 사법 절차를 통해 해석되고 있습니다.미국의 Lummis-Gillibrand 법안은 기존의 이중 은행 시스템을 유지하고, 최대 100억 달러까지 결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통화감독청(OCC)은 또한 스테이블코인을 전통 은행 시스템에 통합하기 위해 중요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은행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은행이 스테이블코인 준비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결제 속도를 높이고 전통 은행 서비스와의 상호운용성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습니다.영국2023년 11월, 영국의 금융 규제 기관들은 1단계 규제 프레임워크에 대한 논의서를 발표했으며, 주로 법정화폐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규제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4년 말까지 FCA가 법정화폐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규제하는 계획의 일환입니다.영국의 단계적 접근 방식은 EU의 포괄적인 규제 프레임워크와 대조적이며, 규제를 점진적으로 도입하면서 필요에 따라 수정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UAEUAE는 최근 몇 년간 가상 자산 분야에서 리더로 자리잡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2025년부터 결제 토큰 서비스 규제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UAE 중앙은행(CBUAE)은 UAE 디르함(AED)에 고정된 스테이블코인을 감독할 권한을 부여받았으며, 기존 두바이 가상 자산 규제 기관(VARA)에서 관할권이 이관되었습니다.이 규제는 결제 토큰을 동일한 법정화폐에 고정된 가상 자산으로 정의하며, 주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법정화폐나 금과 같은 자산에 고정된 스테이블코인을 다룹니다. CBUAE는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과 프라이버시 토큰에 대해 특정 허가를 요구하며, 이들에 대해 규제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일본일본은 2023년 결제 서비스법 개정 이후, 디지털 결제형 스테이블코인은 은행, 자금 이체 서비스 제공자 및 신탁 회사만 발행할 수 있습니다. 각 발행자는 특정 규제를 준수해야 하며, 은행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은 예금으로 간주되어 예금 보험으로 보호됩니다.이 규제를 통해 엔화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이 기대되며, 일본의 주요 은행들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싱가포르싱가포르는 2023년 8월, 단일 통화 스테이블코인(SCS)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발표했습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싱가포르 달러 또는 G10 통화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을 대상으로 하며, 발행자는 특정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발행자는 가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준비 자산을 관리하고,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최소 100%의 준비금을 유지해야 하며, 준비 자산은 안정적이고 유동성이 높은 자산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발행자는 최소한의 기본 자본과 충분한 유동 자산을 유지해야 하며, 이는 발행자의 파산 위험을 줄이고 필요 시 질서 있는 사업 종료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발행자는 SCS를 원가로 상환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통해 SCS 보유자는 상환 요청 후 5 영업일 내에 본래의 가치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발행자는 사용자에게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이는 SCS의 가치 안정성을 유지하는 메커니즘, SCS 보유자의 권리, 그리고 준비 자산에 대한 감사 결과를 포함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건을 모두 충족한 발행자는 싱가포르 통화청(MAS)에 규제된 스테이블코인으로 인식받기 위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MAS 규제 스테이블코인" 라벨은 사용자가 다른 스테이블코인과 구별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결론스테이블코인은 금융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규제 프레임워크는 기술 발전과 나란히 변화해야 합니다. 각국의 규제 당국은 혁신을 촉진하면서도 소비자 보호를 유지하기 위해 균형 잡힌 접근법을 취해야 하며, 규제 프레임워크가 적응적이고 미래지향적이어야 함은 자명합니다.견고한 규제를 마련하는 것은 신뢰와 안정성을 강화하고, 기술 발전 및 시장 성장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규제 당국, 산업 참여자, 그리고 소비자 간의 지속적인 대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안전하고 투명하며 혁신적인 금융 미래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스테이블코인 규제가 글로벌적으로 명확해지면, 다양한 스테이블코인 유형의 채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USD가 아닌 스테이블코인의 성장도 함께 촉진할 수 있으며, 다양한 관할 구역과 산업 전반에 걸쳐 디지털 자산에 대한 수용이 확대될 것입니다.스테이블코인 규제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의 사용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주류 채택이 확대되는 상횡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의 가치 제안이 점차 명확해짐에 따라, 크립토 산업, 규제 당국, 정책 입안자들이 협력하여 이 새로운 인프라에 기반한 글로벌 금융 시스템이 보다 포괄적이고 경제적 힘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Referencehttps://www.binance.com/en-NG/research/analysis/overview-of-global-stablecoin-regulationhttps://www.americanbar.org/groups/business_law/resources/business-law-today/2024-september/state-stablecoin-regulation-emergence-global-principles/ ;https://blockworks.co/news/mica-clarity-stablecoin-restrictions-revisited ;https://www.finextra.com/the-long-read/974/2024-is-the-uks-landmark-year-for-stablecoin-regulation ;https://fichtelegal.com/uae-makes-strides-in-crypto-asset-regulation-an-analysis-of-the-new-uae-central-bank-regulations-on-stablecoins/ ;https://www.circle.com/en/reports/state-of-the-usdc-economyDisclaimer :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일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추천이나 법률, 사업, 투자, 세금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거나 회계, 법률, 세무 관련 지침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특정 자산에 대한 언급은 단지 참고용 정보일 뿐, 투자 권유의 의미가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의견은 관련된 기관이나 조직, 혹은 개인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고팍스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고팍스(GOPAX)
2025.01.24
스테이블코인 트릴레마는 탈중앙화, 가격 안정성, 자본 효율성을 균형 있게 맞추는 스테이블코인을 만드는 도전에 대해 설명합니다. 법정화폐 기반, 암호화폐 기반, 알고리즘 기반 등 다양한 유형의 스테이블코인은 트릴레마의 각 측면을 우선시하여 다양한 트레이드오프를 발생시킵니다. 스테이블코인 트릴레마의 잠재적 해결책으로는 하이브리드 모델, 위험 관리 전략, 고급 알고리즘 등이 있습니다.서론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와 같은 기초 자산의 가치를 추적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입니다. 그러나 탈중앙화, 가격 안정성, 자본 효율성을 균형 있게 맞추는 스테이블코인을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이 글에서는 스테이블코인 트릴레마, 그 주요 구성 요소, 다양한 유형의 스테이블코인과 그 트레이드오프, 그리고 잠재적 해결책을 살펴보겠습니다.스테이블코인 트릴레마란 무엇이며 왜 존재하는가?스테이블코인 트릴레마는 탈중앙화, 가격 안정성, 자본 효율성이라는 세 가지 주요 속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을 설계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각 측면은 스테이블코인의 효과적인 성능에 필수적이지만, 세 가지를 모두 최적 수준으로 동시에 달성하는 것은 큰 도전이 되어 왔습니다.스테이블코인 트릴레마는 각 속성이 본질적으로 서로 충돌하기 때문에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가격 안정성은 강력한 담보 지원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과도한 담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자본 효율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자본 효율성은 필요한 담보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이는 가격 안정성에 대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스테이블코인 트릴레마의 구성 요소탈중앙화탈중앙화는 통제와 의사 결정이 중앙 권한에서 멀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탈중앙화는 스테이블코인이 단일 중앙 권한 대신 여러 통제 지점에 의해 운영되며, 그 페그가 프로토콜과 알고리즘을 통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탈중앙화된 스테이블코인의 이상적인 경우를 나타내며,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은 여전히 부분적이거나 완전히 중앙화되어 있습니다.가격 안정성스테이블코인의 가격 안정성은 법정화폐와 같은 기초 자산에 고정된 일관된 가치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이 교환 매체 및 안전한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합니다. 실제로 이는 사람들이 스테이블코인을 전통적인 돈처럼 일상 거래에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예를 들어, 스테이블코인이 미 달러에 고정되어 있다면, 1 스테이블코인은 항상 1달러의 가치를 가져야 합니다. 이는 오늘 커피 한 잔을 구매할 때의 가격이 내일, 다음 주, 다음 달에도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게다가, 높은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국가의 사람들은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여 저축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르헨티나에서는 현지 통화가 상당한 인플레이션을 겪어 구매력이 감소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급격한 평가절하로부터 저축을 보호하기 위해 스테이블코인을 선택했습니다.자본 효율성자본 효율성은 스테이블코인이 그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담보 자산을 얼마나 잘 사용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단위당 정확한 가치를 보장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담보를 유지해야 하는지를 의미합니다. 스테이블코인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담보가 필요한 경우, 자본 효율성이 낮아집니다.예를 들어, 1달러 가치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기 위해 1.50달러의 담보가 필요한 스테이블코인은 1.10달러의 담보로 같은 1달러의 발행이 가능한 스테이블코인보다 자본 효율성이 낮습니다.자본 비효율적인 스테이블코인의 실제 예는 DAI입니다. 예를 들어, 1달러 가치의 DAI를 발행하려면 사용자가 1.50달러 가치의 이더(ETH)를 잠금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DAI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스테이블코인 자체가 대표하는 가치보다 더 많은 가치를 묶어두기 때문에 자본 비효율적입니다.스테이블코인의 유형 및 트레이드오프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중앙 기관이 보유한 법정화폐 준비금으로 뒷받침되는 암호화폐입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테더(USDT)와 USD 코인(USDC)이 있습니다.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안정적인 가격을 유지할 수 있고, 준비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자본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이는 중앙화된 구조에 의존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격 안정성과 자본 효율성은 탈중앙화의 대가로 이루어집니다.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페그를 유지하는 스테이블코인입니다. 예를 들어, 알고리즘은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공급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고정 가치를 유지합니다. 가격이 오르면 알고리즘은 가격을 내리기 위해 더 많은 코인을 생성하고, 가격이 떨어지면 공급을 줄여 가격을 다시 올립니다.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탈중앙화 및 자본 효율성을 목표로 하지만, 가격 안정성에는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는 그 안정성이 시장 수요와 알고리즘에 크게 의존하며, 압력하에 페그가 실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암호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암호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다른 암호화폐로 뒷받침되는 스테이블코인입니다. 항상 1달러의 가치를 유지할 것을 약속하는 스테이블코인을 상상해 보세요. 이 가치를 보장하기 위해 디지털 금고에 1달러 이상의 다른 암호화폐를 잠급니다. 예를 들어, 1달러 가치의 스테이블코인을 얻기 위해 1.50달러 가치의 ETH를 예치해야 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0.5달러는 ETH의 가치 변동을 흡수하고 스테이블코인의 가치를 1달러에 고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암호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담보의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초과 담보가 필요합니다. 이들은 탈중앙화와 가격 안정성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지만,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과도한 담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자본 효율성은 낮습니다.가장 인기 있는 암호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중 하나는 DAI입니다. 이는 이더 및 기타 암호화폐를 담보로 사용하여 가치를 1달러에 가깝게 유지합니다.스테이블코인 트릴레마 해결스테이블코인 트릴레마의 완벽한 해결책은 없지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안되었습니다.하이브리드 모델하이브리드 모델은 스테이블코인 유형의 다양한 요소를 결합하여 트릴레마를 해결합니다. 예를 들어,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와 암호화폐 자산을 혼합하여 부분적으로 담보화될 수 있습니다. 이는 자본 효율성을 높이면서 탈중앙화 및 안정성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습니다.고급 알고리즘고급 알고리즘은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과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목표는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시장 심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시장 변동성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여 가격 안정성을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것입니다.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자본 효율성과 탈중앙화를 높은 수준으로 달성할 수 있습니다. 가격 안정성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트릴레마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는 쉽지 않습니다.보험 및 위험 관리보험 메커니즘과 위험 관리 전략을 도입하면 스테이블코인에 추가적인 보안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잠재적인 담보 실패를 보상하기 위해 자금을 따로 마련하거나 유동성 및 변동성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마무리스테이블코인 트릴레마는 탈중앙화, 가격 안정성, 자본 효율성을 균형 있게 맞추는 스테이블코인의 도전을 강조합니다. 다양한 스테이블코인 유형은 트릴레마의 각 측면을 우선시하여 다양한 트레이드오프를 발생시킵니다. 잠재적 해결책으로는 하이브리드 모델, 고급 알고리즘, 위험 관리 전략 등이 있습니다.면책 조항 : 본 게시물은 단순한 정보 제공과 교육을 위해 작성된 문서이며,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추천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하지 마십시오. 본지는 어떠한 투자적, 법률적 책임 등을 지지 않습니다.☞ 고팍스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고팍스(GOPAX)
2024.08.28
2017년 가상자산 상승장 이후 스테이블코인은 시장의 핵심 축 중 하나로 자리잡았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 가치에 고정해서 가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가상자산을 뜻합니다. 통상 스테이블코인은 미국달러 1달러에 가치를 유지하도록 설계됩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 점유율 1, 2위인 USDT(테더)와 USDC(USD코인)은 1달러에 가치를 고정하기 때문에 보통 스테이블코인은 가상자산 시장에서 현금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가상자산 시장은 국경이 없어서 특정 지역에서만 쓸 수 있는 법정화폐를 사용하면 불편하기 때문에 스테이블코인이 현금 역할을 대신하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BTC(비트코인)을 거래했는데 이 비트코인을 미국 기반 가상자산 거래소에서만 거래되는 코인으로 바꾸고 싶어서 미국 기반 가상자산 거래소로 비트코인을 보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그러면 첫 번째 불편함으로 비트코인을 미국 가상자산 거래소로 옮기는 사이 가격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 비트코인보다 가격 변동이 훨씬 큰 미국 기반 가상자산 거래소의 알트코인으로 바꿔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셋째로 스테이블코인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현금화를 진행하려면 다시 미국 기반 가상자산 거래소의 알트코인을 비트코인 등 주요 가상자산으로 바꿔서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로 보내야 합니다. 규제 등의 이슈로 한국인이 미국 등 외국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외국 법정화폐를 현금화해서 인출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입니다.결국 스테이블코인이 없으면 이 알트코인을 다시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로 이체한 후 원화로 바꿔야 현금화가 완료됩니다. 그러나 스테이블코인이 있으면 리스크를 감수하고 변동성이 있는 일반 가상자산을 이체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 외국 거래소에서만 거래되는 가상자산을 스테이블코인으로 안정적으로 매수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거래소 관계없이 시장을 관망하고 싶다면 즉시 스테이블코인으로 바꿔서 사실상 현금화와 같은 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에는 이러한 이점들이 있기 때문에 2017년 이후 본격적으로 가상자산 시장의 중요 축으로 자리잡게 됐습니다.그러나 스테이블코인이 중요 축으로 자리잡기까지 많은 변화들이 있었고, 현재도 계속해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먼저 1세대 스테이블코인은 테더를 비롯한 달러 준비금 확보형 스테이블코인이었습니다. 초창기 테더는 준비금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여러 의혹을 받았지만 이후 재무건전성과 관련한 자체 보고서를 지속적으로 보충하면서 준비금 투명성 의혹을 점차 해소해 갔습니다. 자사 미 국채, 비트코인 담보 현황 등을 분기마다 공개 보고하는 식으로 우려를 해소해나간 것입니다. 물론 일각에서는 테더의 준비금 투명성이 2017년 이전보다는 나아졌지만 1세대 스테이블코인임에도 지금까지 스테이블코인 시장 점유율 과반 이상을 차지한 1위 스테이블코인이기 때문에 아직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다음으로 2세대 스테이블코인으로는 다이(DAI)와 같은 가상자산 담보 스테이블코인이 거론됩니다.이 스테이블코인은 처음에 탈중앙화의 가치를 지킬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담보가 가상자산이기 때문에 전통자산의 준비금보다 가치 변동성이 커서 준비금이 무너질 우려가 크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DAI와 같은 2세대 스테이블코인은 지난 몇 년 간 담보에 미 국채, 현실자산(RWA) 등을 추가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하지만 2세대 스테이블코인에는 단점이자 장점이 하나 더 있었는데 그것은 추가 발행에 보수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2세대 스테이블코인은 담보에서 가상자산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추가 발행을 섣불리 할 수 없는 구조였습니다. 이렇게 보수적인 발행 구조로 1달러 가치 붕괴(디페깅) 가능성은 낮췄지만 추가 발행 제한에 따른 확장성 한계에 봉착했습니다.3세대 스테이블코인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으로 시장 수요와 공급에 따라 자유자재로 추가 발행이 이뤄지는 구조였습니다. 이는 상승장에서는 더 없는 확장성을 안겨줬지만 하락장에서는 디페깅 확률을 높였습니다. 그 결과 최근 나오는 4세대 스테이블코인 USDe(에테나USDe) 등은 디페깅 위험을 3세대 스테이블코인보다 충분히 고려한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을 지향하고 있습니다.물론 근본적으로 같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이기 때문에 그 위험성을 지적하는 관계자들이 여전히 많은 상황입니다. 이를 극복하는 것이 4세대 스테이블코인의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4세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시장 수요 자체는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테더 시장 점유율이 80%에서 70% 수준으로 줄어들면서 USDe와 같은 신흥 스테이블코인 시장 점유율이 늘어났다는 주요 블록체인 분석 업체들의 분석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변화 속에서 앞으로 스테이블코인이 어떻게 발전해나갈지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본 자료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에 대하여는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없으며, 투자자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입니다.- 투자 여부, 종목 선택, 투자 시기 등 투자에 관한 모든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주)빗썸코리아에 있으며,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빗썸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빗썸(bithumb)
2024.05.29
스테이블코인 업데이트Prologue끊임없이 변화하는 가상자산과 디파이 환경 속에서 스테이블코인은 중요한 인프라 중 하나이다. 스테이블코인의 공급과 활동이 증가하면서 스테이블코인 자체적으로도 새로운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기존 플레이어의 패러다임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번 메사리 리포트는 새로운 프로토콜의 특징이 무엇이고 해당 프로토콜이 기존 방식 대비 어떻게 확장된 유틸리티와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를 점검한다. 또한 성장의 허브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솔라나 네트워크와 스테이블코인 머니 마켓의 현황을 분석하여 스테이블코인의 역학 관계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는 디파이의 변화를 반영할 뿐 아니라 새로운 프로토콜이 시장의 미래를 재편하고 혁신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2024년 2월 2일Research Analyst 최 윤 영코빗리서치센터장 정 석 문핵심 내용• 새로운 종류의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이 등장하고 있다. 이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이 기존 프로토콜과 차별화되는 핵심 요소는 수익률이 보장되는 스테이블코인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에서 발생하는 수익률은 주로 베이스 체인 스테이킹 보상 또는 실물 자산(real world asset, 이하 RWA)에서 비롯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레버리지 수요 주기(leverage demand cycles)1와는 별개로 발생한다.• 솔라나 네트워크는 지난 30일간 USDC 3억 1,800만 달러가 추가되는 등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활동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두 개의 가장 큰 스테이블코인인 USDT와 USDC는 (시가총액이 1,200억 달러에 육박하는 등) 분명 가치를 제공하지만 한 가지 중요한 특성, 즉 보유자를 위한 수익 창출이 부족하다.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두 거대 기업은 미국 달러에 대한 접근성을 원하는 시장의 수요를 충족하지만, 아직까지 보유자에게 기본 수익률(underlying yields)2을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제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들은 계속 성장하는 스테이블코인 파이의 한 조각을 차지하기 위해 물밑 경쟁을 벌이고 있다.가장 높은 수준에서 이러한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중 상당수는 기존 스테이블코인보다 우위를 점하기 위해 수익률 보장이라는 방식으로 기존 컨셉을 우회하고 있다. 또한 이를 달성하기 위해 몇 가지 다른 접근 방식을 모색하고 있다 :• 국채 - 마운틴 프로토콜을 통해 KYB3를 완료한 기관은 단기 미국 국채로 뒷받침되는 USDM 스테이블코인을 발행/상환할 수 있다. 마운틴 프로토콜이 리베이싱 USDM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수익률을 전달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이 모델은 USDC 및 USDT와 매우 유사하다.• RWA - 메이커의 sDAI는 메이커 프로토콜 자체에서 생성된 수익률에 의존한다. 현재 이 프로토콜은 약 24억 달러의 RWA 담보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12월에 530만 달러 이상의 수익(revenue)을 창출했다.•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LST) - 리브라(Lybra) 프로토콜을 통해 사용자는 본질적으로 수익률을 창출하는 stETH 같은 LST를 예치할 수 있다. 예치된 LST는 eUSD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기 위한 담보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토콜 내에는 사용자가 eUSD를 사용하여 LST에서 생성된 수익률을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 이 수익률을 매수하면 사용자가 지급한 eUSD는 LST의 원래 예치자에게 이체된다.• 델타 중립(Delta-Neutral) 전략4 - 에테나 랩스(Ethena Labs) 팀은 델타 중립 전략을 사용하여 USDe 스테이블코인을 생성하는 에테나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다. 이 전략은 사용자가 수익률을 위해 이더(ETH)를 예치하고 스테이킹하는 동시에 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이더 숏 포지션을 취하는 데 사용된다. 이 전략은 일반적으로 펀딩비(funding rate) 메커니즘을 통해 숏 포지션 보유자에게 보상을 제공한다.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의 균형은 델타 중립 전략을 보장하며, 이더 스테이킹과 펀딩비에서 나온 수익률은 사용자에게 돌아간다.이러한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의 수익률 엔진은 일반적으로 크게 두 가지 범주 즉, RWA(국채 포함) 또는 베이스 체인 스테이킹 보상 중 하나에 속한다. 이전에 온체인 투기적 수요가 USDC, USDT 같은 스테이블코인의 주요 수익원이었던 반면, RWA와 체인 스테이킹 수익률은 모두 온체인 투기적 수요와 무관하다는 점에서 역사적 전환이라고 볼 수 있다.일반적으로 이러한 스테이블코인은 에이브나 컴파운드 같은 대출 프로토콜과 관련된 유동성과 이자율에 의존했었다. 이러한 다양한 수익원 간의 중요한 차이점은 대출 프로토콜은 레버리지의 한 형태로 작용하는 반면, RWA와 스테이킹 보상은 대개 레버리지 주기(leverage cycles)와 별개로 발생한다는 점이다.대출 프로토콜에서 생성되는 스테이블코인 수익률은 레버리지 수요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 USDC 또는 USDT 보유자의 입장에서 이는 최적의 환경이 아니다. 보유자는 잠재 수익률에 대한 불확실성을 안고 있으며, 수익률에 접근하기 위해 관련 없는 다른 프로토콜(예: 대출 프로토콜 또는 일드 애그리게이터5)과 상호작용해야 한다. 적극적으로 수익률을 추적하고 대출 프로토콜 간에 자금을 이동하는 데는 실제 비용이 발생하며, 연파이낸스와 같은 일드 애그리게이터는 서비스에 대해 프리미엄을 청구한다. 반면,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설계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을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에게 수익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중 상당수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예를 들어 리브라는 이미 61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지급했으며 발행량은 약 1억 2,000만 달러에 달한다. 에테나의 USDe는 이미 1억 1,000만 달러 이상의 발행량(supply)을 기록했으며, 마운틴 프로토콜의 USDM은 1억 4,500만 달러의 발행량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12억 달러가 넘는 DAI가 sDAI를 생성하는 DSR(DAI Savings Rate module)에 예치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설계에서 생성되는 수익률은 여전히 다소 가변적이지만, 레버리지 수요 주기와는 크게 분리되어 있다. 장기적으로 볼 때, 수익률 창출의 구조적 변화는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의 강점이자 이점으로 작용할 것이다.1 “레버리지 수요 주기(leverage demand cycles)”는 금융 시스템 안에서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레버리지 수요 수준을 의미한다.2 “기본 수익률(underlying yields)”은 스테이블코인의 기초 또는 토대를 형성하는 자산 또는 메커니즘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의미한다.3 KYB(Know Your Business)는 KYC(Know Your Customer)와 비슷한 개념으로 기업에 대해 실명을 확인하는 과정을 뜻한다.4 “델타 중립 전략(Delta-Neutral Strategies)”은 기초 자산 가치의 움직임에 대한 전반적인 민감도(델타)를 최소화하거나 상쇄하는 방식으로 포트폴리오 또는 포지션을 구성하는 것이다.5 일드 애그리게이터(yield aggregator)란 이자 수익을 창출하는 프로토콜들을 한데 모아 최적의 수익률을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출처: 쟁글).스테이블코인 차트북제공 : Messari Screener시가총액 기준 상위 두 개 스테이블코인인 USDT와 USDC는 지난 한 달 동안 발행량이 모두 3% 이상 증가하였다. 특히 USDC는 2023년 11월에 238억 달러로 최저치를 기록한 후 서서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페이팔이 개발한 스테이블코인인 PYUSD도 현재 시가총액이 2억 7,400만 달러에 달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PYUSD를 디파이에 통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에이브(Aave)는 현재 이더리움 V3 배포에 이 스테이블코인을 온보딩하는 것에 대해 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커브의 PYUSD/FRAX 유동성 풀은 컨벡스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내는 기여자(bribers) 중 하나이다.한편, 메이커다오의 MKR은 지난 한 달 동안 이더리움 대비 33% 가까이 상승하며 비교적 강한 가격 움직임을 보였다. 메이커다오 프로토콜은 2023년 4분기에 약 4,700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하며 분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긍정적인 가격 움직임을 지속할 수 있는 강력한 펀더멘털을 보유하고 있다.솔라나 스테이블코인최근 밈코인 활동의 폭발적인 증가와 디파이 사용량 증가, 잠재적인 에어드랍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솔라나의 이체량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월 1일 한 주 동안 솔라나에서는 1,200억 달러가 넘는 이체량이 발생하여 이더리움과 트론을 모두 앞질렀다.이체의 출처는 차익 거래를 수행하는 몇몇 주체(entities)로부터 발생한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활동과 빈도는 일반적으로 수수료를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솔라나 및 기타 저비용, 고성능 체인에서만 가능하다.생태계 관점에서 볼 때, 솔라나는 네트워크에서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는 지난달에 비해 13% 증가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량 기준 상위 8개 체인과는 달리 솔라나는 시장 점유율 기준으로 USDC를 주요(dominant) 스테이블코인으로 보유한 유일한 체인이다.솔라나의 USDC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난 30일 동안 네트워크에는 3억 1,800만 달러의 USDC가 순유입되었다.스테이블코인 머니 마켓 금리에이브와 마진파이 같은 머니 마켓은 전체 시장 내에서 레버리지에 대한 프록시(proxy)로 사용될 수 있다. 해당 프로토콜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포지션에 레버리지를 추가하는 수단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빌린다.전반적으로 스테이블코인 APY는 긍정적인 시장 센티멘트와 함께 계속 상승하고 있다.리퀴티(Liquity)가 제공하는 저렴한 부채는 현재 LUSD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높은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상에 배포된 에이브 V3의 경우 LUSD 공급자들이 최대 18%까지의 수익을 얻고 있다.잠재적인 상승 사이클이 계속 탄력을 받으면서 이러한 스테이블코인 수익률(rates)은 계속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By Seth BloombergJAN 10, 2024 ⋅ Pro원문 링크 : https://messari.io/report/stablecoin-brief-january-10th-2024법적 고지서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아니라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리서치팀이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당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정확성이나 완벽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따라서 본 자료를 이용하시는 분은 자신의 판단으로 본 자료와 관련한 투자의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본 자료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 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본 자료에 나타난 정보, 의견, 예측은 본 자료가 작성된 날짜 기준이며 통지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과거 실적은 미래 실적에 대한 지침이 아니며 미래 수익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 원본의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당사는 본 자료를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의견은 자료 작성자의 개인적인 견해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에 나타난 견해는 당사의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본 자료와 다른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당사에게 있고,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될 수 없습니다.☞ 코빗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코빗(Korbit)
2024.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