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율규제통합정보

블록체인 리포트

[고팍스] 가상자산 에어드랍 현황 분석: 에어드랍은 어디로 가야 하나

작성자 이미지

고팍스(GOPAX)

2025.04.23

핵심 요약


에어드랍은 가상자산 업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토큰 분배 수단 중 하나로 자리 잡았지만, 여러 가지 문제점도 존재합니다. 프로젝트와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려면, 과거의 사례에서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에어드랍을 크게 (1) 사후(레트로액티브) 에어드랍과 (2) 참여형(인게이지먼트) 에어드랍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사후 에어드랍(Retroactive Airdrops): 사전에 예고 없이, 과거 활동 기록(온체인 사용 기록 등)을 기준으로 과거 사용자에게 토큰을 분배하여, 기존 충성도 높은 사용자에게 보상하는 목적이 큼.


• 참여형 에어드랍(Engagement Airdrops): 사용자들에게 특정한 활동(테스트넷 참여, SNS 홍보, 거버넌스 투표 등)을 미리 안내해, 그 이행에 따라 향후 에어드랍을 제공. 새로운 사용자 및 활동량을 유치하기 위한 목적이 큼.


프로젝트는 자신의 프로덕트/커뮤니티 개발 단계에 따라 어떤 유형의 에어드랍이 유리한지 신중히 검토해야 합니다. 에어드랍이 효과적이고 생산적인 활동임을 입증하려면, 투명성·커뮤니티 소통·공정성 등의 원칙을 충실히 적용해야 합니다.


앞으로도 에어드랍이 토큰 분배의 핵심 수단으로 지속될 전망이므로, 온체인 모니터링이나 Proof-of-Humanity(인증) 툴 같은 기술이 발전하면 시빌 공격(에어드랍 파밍) 문제도 감소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토큰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자산, 그리고 에어드랍이라는 분배 방식은 아직 전례 없는 방식이기 때문에 미숙함이나 비효율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쌓아가는 경험과 시행착오가 미래 에어드랍의 표준과 방향을 결정할 것입니다.





☞ 고팍스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Disclaimer: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일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추천이나 법률, 사업, 투자, 세금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거나 회계, 법률, 세무 관련 지침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특정 자산에 대한 언급은 단지 참고용 정보일 뿐, 투자 권유의 의미가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의견은 관련된 기관이나 조직, 혹은 개인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