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재선되면서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가상자산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가상자산의 성장 잠재력이 더욱 부각되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기관 자금 유입 및 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본 리포트는 지난 ‘기관 자금 동향: Bitcoin Election?(2024.10.11)’ 리포트에 이어 기관투자자 자금 유입을 나타내는 4가지 지표의 지난 4개월(2024년 10월 첫째 주부터 2025년 1월 마지막 주)간 추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근 기관투자자의 동향을 정리하였다. 본 리포트 후반부에서는 행정명령의 주요 내용과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발의될 것으로 예상되는 법안들, 그리고 이러한 법안들이 의회를 통과할 경우 가상자산 시장에 미칠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코빗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법적 고지서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아니라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리서치팀이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당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정확성이나 완벽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따라서 본 자료를 이용하시는 분은 자신의 판단으로 본 자료와 관련한 투자의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본 자료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본자료에 나타난 정보, 의견, 예측은 본 자료가 작성된 날짜 기준이며 통지 없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 .과거 실적은 미래실적에 대한 지침이 아니며 미래 수익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 원본의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당사는 본 자료를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의견은 자료 작성자의 개인적인 견해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에 나타난 견해는 당사의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본 자료와 다른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당사는 본 자료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않습니다. 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의견은 자료 작성자 개인적 견해로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당사에게 있고,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될 수 없습니다.
코빗(Korbit)
2025.03.26
• 스마트 컨트랙트란 블록체인 위에 배포된 자체 실행 디지털 계약을 말하며,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코드를 수행하고 계약 내용을 강제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투명성, 보안성, 탈중앙성, 효율성을 높이면서 중개자의 의존도를 줄여줄 수 있습니다.• 기존 금융, 결제, 공급망, 보험, 투표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자동화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크게 개선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1. 스마트 컨트랙트란 무엇인가요?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코드로, 사전에 정의된 조건이 충족되면 중개자나 추가 조정 없이 스스로 실행되는 디지털 계약입니다. 코드는 주어진 조건을 자동으로 검사·수행하여 계약의 정확성을 보장합니다.예컨데, 디지털 아트를 구매할 때, 전통적으로 미술관이나 경매사 같은 중개인이 필요했지만, 스마트 컨트랙트가 이를 대신할 수 있습니다. “구매자가 정해진 금액을 전송하면, 소유권을 자동 이전한다”라는 식의 if-then 로직이 스마트 컨트랙트에 쓰여 있어, 수동적 개입 없이 계약이 성립됩니다.2. 스마트 컨트랙트의 활용 사례스마트 컨트랙트는 단순 송금 외에도, 전통 시스템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새로운 유스케이스를 가능하게 만듭니다.• 금융(DeFi): 디지털 화폐 전송, 대출·차입, 탈중앙화 거래소(DEX) 등 다양한 금융 트랜잭션을 자동화해 중개인을 없앨 수 있습니다.• 탈중앙화 앱(DApp): 블록체인 게임, NFT 마켓, 소셜 플랫폼 등 다양한 DApp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백엔드 로직’으로 활용합니다. 예: NFT 기반 게임 아이템 거래, 탈중앙 금융 플랫폼(스테이킹·유동성 풀) 등.• 보험: 보험금 청구 절차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사전에 정해진 조건(피해 발생 등)이 확인되면, 서류 확인 없이 자동으로 보상이 이루어집니다.• 공급망 관리: 물류 단계마다 자동 검증 및 결제를 실행, 투명성을 높이고 부정행위를 줄입니다.• 지식재산·라이선싱: 콘텐츠 창작자가 NFT나 스마트 컨트랙트로 저작권을 자동 관리, 로열티 배분도 트랜잭션으로 자동 처리합니다.• 전자 투표(Voting): 투표 결과가 자동으로 집계되고 블록체인에 투명하게 기록, 신뢰도와 보안성을 높입니다.3. 스마트 컨트랙트 작동 원리스마트 컨트랙트가 원활히 동작하려면 블록체인 기술, 코드 실행, 탈중앙 합의(Consensus)가 결합되어야 합니다. 간단히 살펴보면:• 개발 및 배포: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자는 Solidity(이더리움), Rust(솔라나) 등 해당 체인에 맞는 언어로 코드를 작성 후 블록체인에 업로드(배포)합니다.• 코드(조건) 정의:• 계약 내용을 코드로 표현합니다. 예: “조건 X가 충족되면, Y를 실행한다.”• 간단한 송금부터 복잡한 멀티 단계 로직까지 다양한 형태가 가능.• 트랜잭션 호출(Invocation):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네트워크 참여자가 지갑(예: 메타마스크, 팬텀)으로 호출해 특정 함수를 실행시킵니다.• 검증 및 실행: 블록체인 노드가 트랜잭션을 검증, 조건이 충족되면 로직(토큰 전송, 데이터 변경 등)을 자동 수행합니다.• 불변 기록: 이 모든 과정은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즉, 오류 시 쉽게 되돌릴 수 없다는 점이 장점이자 단점입니다.• 확정(Finality): 합의 알고리즘(Proof of Work, Proof of Stake 등)에 따라 트랜잭션이 영구적으로 확정됩니다.4. 대표적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이더리움(Ethereum): 스마트 컨트랙트를 개척한 1세대 플랫폼. 큰 개발자 커뮤니티를 갖췄지만 수수료(가스비)가 높은 편.•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 이더리움과 유사한 언어(Solidity) 사용, 비교적 낮은 수수료와 빠른 처리속도.• 솔라나(Solana): 고속 트랜잭션·저가 수수료를 자랑. Rust 언어 기반으로 개발.• 카르다노(Cardano): 연구 중심의 접근으로 보안성과 지속가능성에 중점.• 폴카닷(Polkadot): 상호운용성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체인들이 서로 연결·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설계.5. 스마트 컨트랙트의 한계와 단점스마트 컨트랙트가 가져다주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합니다.• 외부 데이터 의존(Oracle 문제): 스마트 컨트랙트가 현실 세계 정보를 가져오려면 ‘오라클’이 필요. 오라클이 중앙화되어 있으면 조작 위험이 생길 수 있음.• 코드 취약점: 코딩 오류나 보안 결함이 있으면 해커가 이를 악용해 자금을 탈취할 수 있음. 철저한 테스트 및 감사가 중요.• 확장성(Scalability):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혼잡해지면 트랜잭션 처리 속도·비용 문제가 커져, 스마트 컨트랙트 운영이 어려울 수 있음.• 불변성(Immutability): 한 번 배포된 계약을 수정하거나 롤백하기가 어려움. 코드 오류가 발견될 경우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6. 스마트 컨트랙트 문제 해결 노력블록체인 업계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버그 바운티(Bug Bounty)프로젝트들이 해커와 개발자 커뮤니티에 ‘버그나 취약점 발견 시 포상’ 프로그램을 운영해, 악의적 공격 전에 문제를 고쳐나갑니다.보안 감사(Audit Firms)스마트 컨트랙트 전문 감사(Audit) 업체들이 코드 리뷰, 테스트, 수학적 검증 기법 등을 수행해 보안을 강화합니다.표준 및 프레임워크ERC(이더리움 리퀘스트 포 커멘트) 등 표준안을 만들어, 개발자들이 일정 규칙과 인터페이스를 준수하도록 유도. 상호운용성과 품질이 개선됩니다.레이어2 솔루션오프체인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해 메인 체인(레이어1) 부하를 줄이는 Optimistic Rollups, ZK-Rollups 등이 등장, 확장성과 수수료 문제를 완화합니다.7. 비트코인도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능할까요?비트코인도 기본적인 스크립트 언어로 간단한 조건부 지불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더리움 등처럼 범용적 스마트 컨트랙트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 오프체인 결제 채널을 활용해 빠르고 저렴한 거래 가능. 하지만 완전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은 제한적.• 사이드체인(RSK 등): 비트코인 블록체인과 연계된 독립 체인에서 이더리움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하는 시도도 있습니다.예) Ordinals나 BRC-20 같은 비트코인 NFT·토큰 모델은 스마트 컨트랙트보다는 “사토시에 직접 데이터(파일)를 각인”하는 방식이어서, 본격적 스마트 컨트랙트라고 보긴 어렵습니다.결론스마트 컨트랙트는 “조건 충족 시 자동 실행”되는 디지털 계약으로, 기존 중개자 역할을 대체·간소화하여 투명성, 효율성, 탈중앙성을 높입니다. 이는 금융, 게임, 공급망, 투표 등 다양한 분야에 도입 가능해 잠재력이 큽니다.하지만 코드 취약점, 오라클 의존, 확장성, 불변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여전합니다. 업계는 보안 감사, 표준화, 레이어2 솔루션 개발 등을 통해 이 문제를 보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진화가 기대됩니다.스마트 컨트랙트가 제공하는 자동화·탈중앙 기능은 디지털 경제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핵심 요소입니다. 앞으로 더 많은 프로젝트와 산업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도입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금융, 계약, 업무 프로세스가 어떻게 혁신될지 지켜볼 만합니다.Disclaimer: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일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추천이나 법률, 사업, 투자, 세금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거나 회계, 법률, 세무 관련 지침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특정 자산에 대한 언급은 단지 참고용 정보일 뿐, 투자 권유의 의미가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의견은 관련된 기관이나 조직, 혹은 개인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고팍스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고팍스(GOPAX)
2025.02.26
2024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현물 ETF(상장지수펀드)를 승인하면서 미국 증권거래소에 사상 최초로 가상자산 현물 ETF가 출시됐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제 미국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외의 현물 ETF가 출시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가장 큰 이유는 지난 2024년 11월 미국 대선에서 당시 공화당 대선 후보였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승리했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전부터 당선되면 비트코인을 전략적 비축자산으로 삼겠다고 발언하는 등 가상자산을 수차례 옹호했습니다. 그는 특히 ETF 승인을 검토하는 SEC의 위원장 개리 겐슬러를 취임 첫날 해임하겠다고 발언해 시장의 관심을 모았습니다. 겐슬러 위원장은 대부분의 가상자산은 증권이라고 말하는 등 가상자산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수차례 드러낸 인물입니다. 그의 임기 동안 수백 곳의 가상자산 기업이 증권법 위반 혐의 등으로 기소됐습니다. 미국 가상자산 업계는 그의 임기 동안 이뤄진 이러한 기소가 규제 명확성이 없다고 봤습니다.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하고 겐슬러 위원장이 지난 1월 자진 사임하면서 시장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외의 가상자산 현물 ETF 출시에 대한 기대가 커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새롭게 임명한 폴 앳킨스 전 SEC 위원도 친 가상자산 인사로 알려지면서 이러한 기대는 더욱 커졌습니다. 미국 법조계에서는 겐슬러 위원장 재임 시절 SEC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외의 가상자산 현물 ETF 승인을 하지 않았던 이유를 선물 출시 여부로 봤습니다. SEC가 지난 2024년 5월 이더리움 현물 ETF를 승인한 이유는 이더리움의 경우 미국 내에 선물 ETF가 존재했기 때문이라고 본 것입니다.이는 글로벌 가상자산운용사 그레이스케일의 승소 전후로 SEC가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현물 ETF를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원래 SEC는 비트코인 현물 ETF를 거절했습니다. 그러다가 지난 2023년 8월 SEC가 그레이스케일과의 소송에서 패소한 뒤 5개월 만인 2024년 1월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했습니다. 그레이스케일은 앞서 자사 비트코인 신탁상품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트러스트(GBTC)를 현물 ETF로 전환하려고 했지만 SEC가 이를 거절하자 이것이 부당하다고 보고 2022년 6월 법원에 소송을 제기한 바 있습니다.이에 대해 미국 법원은 2023년 8월 비트코인 선물 ETF와 비트코인 현물 가격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SEC의 거절은 부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이를 이유로 SEC에 GBTC의 현물 ETF 전환 심사를 재검토하라고 명령했습니다. 즉, 당시 SEC 패소 원인이 특정 가상자산 현물 ETF의 선물 및 현물 가격 상관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비트코인처럼 미국 내 선물시장에 등록돼 있는 이더리움의 현물 ETF도 승인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그러나 솔라나 등 다른 알트코인은 미국 시장에서 선물 ETF가 아직 거래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선물 ETF 출시되기 전에는 SEC가 다른 알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 것입니다. 하지만 SEC가 지난 2월 13일(현지시간) 자산운용사가 신청한 엑스알피와 도지코인 현물 ETF 신청을 접수하면서 이와 같은 기존 전망은 상당 부분 뒤집히게 됐습니다. SEC는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 산하 NYSE아르카(NYSE Arca)가 그레이스케일을 대신해 신청한 엑스알피 및 도지코인 현물 ETF 19b-4(규칙변경신고서) 접수를 완료했다”고 알렸습니다.앞서 복수의 자산운용사들은 솔라나, 엑스알피, 도지코인 등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외의 여러 알트코인 현물 ETF를 SEC에 신청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알트코인 현물 ETF를 접수했다는 공지를 한 적이 한 차례도 없었습니다. 통상 SEC는 특정 ETF 상품 접수를 완료하면 해당 ETF의 승인 심사에 착수하게 됩니다. 즉, SEC가 엑스알피 및 도지코인 현물 ETF 접수 사실을 알렸다는 건 앞으로 관련 ETF 승인 심사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의미입니다. 전문가들은 SEC가 2월부터 엑스알피 및 도지코인 현물 ETF 승인 심사에 착수하게 되면 2025년 10월이나 11월 중으로 승인 여부가 판가름 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가상자산친화적 정책으로 2025년 중으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외의 알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될 수 있다는 시장 기대가 급격하게 커지고 있습니다.다양한 종류의 알트코인 현물 ETF가 출시되면 이용자들의 가상자산 현물 ETF 선택 폭이 커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순히 개별 종목 ETF에 대한 선택 폭이 커진다는 장점 외에도 여러 가상자산 현물 ETF를 조합한 새로운 상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현재 전통자산시장에서 여러 개별 종목 ETF를 혼합한 상품들이 취급되는 것처럼 가상자산 현물 ETF도 같은 과정을 겪을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또 자산을 보유하면서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인 커버드 콜(Covered Call)과 같은 투자전략을 포함하는 가상자산 현물 ETF 출시도 가능해집니다. 콜옵션이란 자산을 사전에 정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합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 ETF 시장 점유율이 가장 큰 미국이 가상자산 현물 ETF 시장을 크게 개방하면 다른 나라들도 관련 ETF들을 신속히 도입할 가능성이 커집니다.이처럼 미국 알트코인 현물 ETF 출시 시대 개막으로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시선은 그 어느 때보다 미국을 향해 있습니다. 앞으로 미국 알트코인 현물 ETF 출시를 통해 가상자산 시장이 더 건전하고 단단하게 성장하기를 기대해 봅니다.- 본 자료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에 대하여는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없으며, 투자자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입니다.- 투자 여부, 종목 선택, 투자 시기 등 투자에 관한 모든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주)빗썸에 있으며,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빗썸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빗썸(bithumb)
2025.02.26
다중 레이어의 위험 관리, 법 집행기관과의 협업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가상자산 업계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위협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보안 체계만큼이나, 사용자들의 주의와 기본적인 보안 인식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스캐머와 해커는 계속 진화하기에, 유저들이 스스로 방어적 태도를 지녀야 합니다.들어가며가상자산 시장이 커지면서 투자자들과 사용자들은 더욱 많은 기회를 얻게 되었지만, 동시에 스캠(사기)과 금융 범죄 위험도 커졌습니다. 블록체인 특유의 투명성과 탈중앙성은 많은 장점을 제공하지만, 이를 악용하려는 범죄자들도 활개치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금융 범죄, 특히 사기성 자금흐름이나 해킹 등을 어떻게 예방·대응할 수 있는지, 그리고 사용자 입장에서 어떻게 안전하게 가상자산을 이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봅니다.가상자산 업계가 막아낸 수십억 달러의 피해2024년 상반기에, 몇몇 대형 거래소들은 사전에 수십억 달러 상당의 사용자 피해를 방지한 사례를 보고했습니다. 이는 ‘범죄가 일어나고 난 뒤 대처’가 아니라, 거래소 차원에서 사기 정황을 미리 포착해 트랜잭션을 차단하거나 의심 계정을 동결하는 등 적극적 조치를 취했기 때문입니다.다중 레이어 사기 방지 체계스캠 대응은 결코 ‘단일 보안 툴’로 끝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선도적인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위험 수준에 따라 단계별 보안 장치를 마련해, 사용자와 거래소를 동시에 보호합니다.1. 맞춤형 사용자 알림의심스러운 행동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팝업이나 경고 메시지를 보내 "이 작업이 위험할 수 있다"고 알립니다. 이는 사용자가 “잘못된 주소로 송금하려는 것 아닌지”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만들어 줍니다.2. 위험 설문가상자산 초보자나 최근 가입자처럼 스캠에 취약해 보이는 이용자에게 간단한 설문을 제공해, “어떤 거래인지”, “상대방은 누구인지” 등을 스스로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3. 악성 주소 DB글로벌 보안 기업·블록체인 분석사들과 협업해, 이미 알려진 스캠·피싱 지갑 주소 목록을 공유받고, 거래소가 이를 차단하거나 “위험 거래”로 경고를 띄우도록 설정합니다.4. 소액 거래 미리 동결폰지 사기나 다단계 스캠은 보통 작은 금액으로 시작해 사용자 신뢰를 얻고 점차 큰 금액을 유도합니다. 일부 거래소는 이처럼 “소액이면서 의심스러운 거래”를 조기 동결하는 방식을 씁니다.5. 자기차단(Self-Exclusion) 기간사용자가 충동적으로 잘못된 거래를 시도하는 정황이 포착되면, 출금을 24시간 정도 잠시 멈추도록 해, 사용자가 다시 한번 생각하고 취소할 수 있게 만듭니다.법 집행기관과의 협업거래소들이 자체적으로만 범죄를 막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대규모 또는 심각한 범죄 의심 사례가 있으면, 법 집행기관과의 긴밀한 공조가 필수입니다. 이를 통해:• 자금 흐름 추적: 범죄자 지갑·트랜잭션을 추적해, 도난 자금이나 불법자금을 동결·회수.• 형사 사건 연계: 범죄자 신원 파악, 국제 공조 수사를 통해 주요 범죄 조직이나 네트워크를 해체.이러한 공조는 점점 활발해지고 있으며, 거래소 입장에서도 빠른 대처가 가능해져 불법 행위를 억제하는 효과가 높아졌습니다.사용자 교육: 스캐머를 아는 것이 곧 보호다아무리 기술적 보안이 뛰어나도, 결국 사용자 본인의 주의가 없으면 해커나 사기꾼에게 쉽게 당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거래소들은 교육 자료, 아카데미 강좌, 커뮤니티 이벤트 등을 통해 피싱, 폰지, 사칭 사기 등 대표 수법을 알려주고 있습니다.대표적 스캠 유형• 피싱: 가짜 웹사이트나 메일로 로그인 정보 등을 훔침.• 폰지: 신규 투자금으로 기존 투자 수익을 지급, 마지막 합류자에게 피해 전가.• 사칭: 유명인이나 프로젝트 팀원을 사칭해 송금을 유도.사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대비해야 합니다:• 낯선 링크 클릭 자제,• 개인 키(Seed Phrase) 절대 타인과 공유 금지,• 출금·송금 시 주소 철저히 재확인,• 공식 채널 외 정보(텔레그램 DM, 개인 메시지 등) 주의 깊게 의심.더 똑똑하고 빠른 사기 감지: AI·머신러닝일부 거래소들은 AI, 머신러닝 시스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거래 패턴을 실시간 분석해, 평소와 다른 이상 패턴(예: 잦은 소액 이체로 된 체인 형태, 해외 IP 접속 등)을 즉시 감지해 계정을 잠가버리거나 추가 인증을 요구합니다.이처럼 시스템이 자동으로 의심 행위를 감지·차단하므로, 범죄자가 자금을 인출하기 전에 사용자 자산을 보호할 수 있게 됩니다.책임감 있는 거래 권장이 과정에서 “사용자 스스로도 과도한 투자나 충동적 거래를 자제하라”고 권장하는 추세입니다. 가령 앞서 언급한 자기차단(Self-Exclusion) 기능 등이 대표적입니다.• 24시간 출금 중지: 사용자가 뜬금없는 고위험 코인 매수·외부 주소 송금 시도 → 시스템이 ‘충동 거래일 수 있다’고 판단 → 잠시 냉각 기간 부여.• 심리적 안정: 사용자는 그 시간 동안 재고해 볼 수 있어, 사기나 잘못된 투자를 막을 기회를 갖게 됩니다.맺음말거래소들의 금융 범죄 예방 노력은 기술적 도구, 인적·법적 협력, 사용자 교육이 어우러진 종합적 접근입니다. 단순히 사후 조치가 아니라, 미리 의심 거래를 탐지하고 차단함으로써 수십억 달러의 피해를 막아내고 있습니다.하지만 결국 사용자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거래소의 보안 시스템 + 유저의 보안의식이 함께 작동해야 스캐머와 해커에게서 안전해질 수 있습니다.만약 “쉽게 큰돈을 벌 수 있다”거나 “안전 100%, 확정 수익” 등 말도 안 되는 제안을 받는다면, 그 순간이 바로 “내가 스캠에 노출된 것 아닌가?”를 경계해야 할 때입니다. 가상자산 시장이 계속 커짐에 따라, 범죄 방법도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만큼 거래소와 사용자 모두가 더 똑똑해지고 주의 깊게 대응한다면, 안전하고 투명한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Disclaimer: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일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추천이나 법률, 사업, 투자, 세금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거나 회계, 법률, 세무 관련 지침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특정 자산에 대한 언급은 단지 참고용 정보일 뿐, 투자 권유의 의미가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의견은 관련된 기관이나 조직, 혹은 개인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고팍스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고팍스(GOPAX)
2025.02.2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한 후 가상자산 시장을 지속적으로 옹호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그는 지난 1월 행정명령을 통해 가상자산 규제 명확성 제공 및 실물그룹 설립을 발표했습니다.실무그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가상자산 정책을 조언하고 업계 의사 결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는 또 행정명령을 통해 이 실무그룹의 수장이 데이비드 색스(David Sacks) 가상자산 및 인공지능(AI) 수석보좌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크립토 차르(Crypto Czar)'라고도 불리는 가상자산 및 인공지능(AI) 수석보좌관은 트럼프 행정부 2기의 가상자산 정책을 이끄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직책입니다.이 때문에 업계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색스 수석보좌관을 해당 직책에 임명할 때부터 그의 입에 주목했습니다. 결국 색스 수석보좌관은 지난 2월 4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통해 가상자산 규제 명확성 및 시장 진흥의 뜻을 분명하게 드러냈습니다. 이 기자회견에는 팀 스콧(Tim Scott) 상원 은행위원장, 프렌치 힐(French Hill) 하원 금융서비스위원장, 존 보즈먼(John Boozman) 상원 농업위원장, 글렌 톰슨(Gleen Thomson) 하원 농업위원장도 같이 참석해 회견의 무게감을 높였습니다.색스 수석보좌관은 이 회견에서 "지난 몇 년 동안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들과 대화할 때 가장 필요한 것은 규제 명확성이라는 이야기를 반복적으로 들었다"며 "이 때문에 미래 중요 기술들이 해외로 빠져나갔는데 우리는 이를 다시 되찾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혁신의 장소를 미국으로 유지해 좋은 시장 참여자와 나쁜 시장 참여자를 구분하는 게 더 쉬워질 것"이라며 "명확한 정의와 공정한 규칙을 갖춘 구조화된 법률이 이러한 혁신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 아래에서 가상자산 시장의 황금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그는 이 자리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거론했습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 법안에 대해서 하원, 상원과 협력하게 돼 아주 기쁘다”며 “빌 해거티(Bill Hagerty) 상원 의원이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을 발의한 만큼 조만간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 명확성도 생겨날 것으로 보인다”고 했습니다. 또 “스테이블코인은 국제적으로 미국 달러의 지배력을 보장하고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미국 달러 사용을 증가시킨다”며 “이 과정에서 잠재적으로 수조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 수요를 창출해 장기 금리를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그는 이후 질의응답 시간에서는 투자자 보호와 비트코인 전략자산 비축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그는 “가상자산의 특징, 블록체인에 대한 기술적 이해 등 투자자 보호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교육담당자는 외부 자문이 될 수 있고 업계의 저명인사가 될 수도 있는데 우리는 이에 대해 많은 사람들과 논의 중”이라며 “향후 의원들과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또 비트코인 전략자산 비축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에게 지시한 것은 비트코인 전략자산 비축에 대한 아이디어를 평가하는 것”이라며 “우리 실무그룹은 가장 먼저 비트코인 전략자산 비축 여부를 살필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아직 초기 단계지만 준비를 마치는 대로 실무그룹 내각 비서관들이 전략자산 비축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미국 가상자산 업계 전문가들은 색스 수석보좌관이 여러 장관들과 대동해 기자회견에서 가상자산과 관련해 이같이 파격적인 발언을 한 것을 매우 중요하게 봤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거론한 ‘크립토 차르’가 허울뿐인 직책이 아니라 실제로 힘 있는 직책이라는 것을 보여줬고, 가상자산 정책 추진에 대한 의지도 확고하다는 것을 증명했기 때문입니다. 미국 가상자산 규제에 있어 두 번째로 중요하게 볼 것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변화입니다. SEC는 지난 1월 가상자산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하고 이 TF 수장을 헤스터 피어스 SEC 위원으로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피어스 위원은 지난 2018년부터 가상자산 규제 명확성을 강조한 대표적인 가상자산 옹호론자입니다. 이 때문에 업계 전문가들은 향후 SEC 가상자산 TF가 가상자산 규제 명확성 구축에 앞장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SEC는 이 기대에 부응하듯 2월 5일 SEC 웹페이지 내에 가상자산 TF 페이지를 별도로 개설했습니다. 이 페이지는 가상자산 정책 관련 의견을 누구든 양식에 따라 SEC에 개진할 수 있도록 조성했습니다. 같은 날 피어스 위원은 SEC 웹페이지에 “가상자산의 증권성 여부를 가려내는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는 게 나의 최우선순위”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SEC가 다수의 가상자산 기업들을 증권법 위반 혐의로 제소했을 때 규제 불명확성 문제가 불거진 바 있습니다.미국 증권법은 1933년에 시행됐는데 이를 잣대로 가상자산의 증권성을 판별하는 건 모호한 구석이 많다고 봤기 때문입니다. 피어스 위원은 이러한 문제를 가장 먼저 해결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 것입니다. 피어스 위원은 또 “가상자산 기반 대출, 스테이킹 등 다양한 서비스들이 연방 증권법의 적용을 받는 것이 맞는지 여부도 검토할 것"이라며 “일부 가상자산이 SEC의 관할권에서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비조치의견서를 가상자산 프로젝트들에게 보내 규제 명확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비조치의견서란 SEC가 특정 사안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내용을 담은 문서를 의미합니다.마지막으로 피어스 위원은 증권 등록 절차 간소화 및 가상자산 커스터디(수탁) 규제 구축을 거론했습니다. 행정부와 규제기관이 이처럼 가상자산에 대해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사상 유례가 없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이들의 행보를 주목해서 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본 자료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에 대하여는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없으며, 투자자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입니다.- 투자 여부, 종목 선택, 투자 시기 등 투자에 관한 모든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주)빗썸에 있으며,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빗썸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빗썸(bithumb)
2025.02.26
AI와 가상자산, 두 혁신 기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우리는 새로운 가능성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AI 에이전트는 단순한 자동화 도구를 넘어 조직의 생산성을 재정의하고, 새로운 시장 가치를 창출하며 기존 산업 구조를 뒤흔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가상자산과 탈중앙화된 네트워크는 AI 에이전트의 활용을 더욱 확대하고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메사리의 이번 보고서는 Nvidia와 OpenAI 같은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AI 에이전트에 대해 제시한 비전에서 출발해 현재 가상자산 생태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AI 에이전트 활용 사례와 그 잠재적 영향을 다룬다.☞ 코빗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법적 고지서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아니라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리서치팀이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당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정확성이나 완벽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따라서 본 자료를 이용하시는 분은 자신의 판단으로 본 자료와 관련한 투자의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본 자료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본자료에 나타난 정보, 의견, 예측은 본 자료가 작성된 날짜 기준이며 통지 없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 .과거 실적은 미래실적에 대한 지침이 아니며 미래 수익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 원본의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당사는 본 자료를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의견은 자료 작성자의 개인적인 견해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에 나타난 견해는 당사의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본 자료와 다른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당사는 본 자료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않습니다. 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의견은 자료 작성자 개인적 견해로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당사에게 있고,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될 수 없습니다.
코빗(Korbit)
2025.02.26
• 과학 연구에서 “Valley of Death”란, 기초 과학에서 확보된 지식과 기술이 실제 임상시험과 제품화 단계로 이어지기 전에 좌절되는 구간을 가리킵니다.• 자금 부족, 이해관계 불일치, 협업 부재 등으로 인해 전체 연구의 80~90%가 임상 전 단계에서 실패하며, 약물 후보물질 1,000개 중 단 1개만 FDA 승인을 받게 됩니다.• DeSci(Decentralized Science)는 웹3 스택(Blockchain, DAO, 스마트 컨트랙트)을 활용해 전통적 과학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입니다.• DeSci는 자금 조달, 이해관계자 간 협업, 투명한 연구 기록을 가능케 하여 “Valley of Death”를 넘도록 지원합니다.• 다만 현재 DeSci 생태계는 주로 기초·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 단계에 집중되어 있고, 임상단계(Clinical Stages) 진입을 위한 제도·규제 측면의 추가 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1. 전통적 과학 연구와 “Valley of Death”1.1 과학 연구의 기존 모델전통적 과학 연구는 크게 기초 연구(Basic Research)와 임상 연구(Clinical Research)로 나뉘며, 이 둘을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가 연결합니다.• 기초 연구: 대학, 연구소에서 기초 이론, 분자 수준 메커니즘, 생물학적 경로 등을 탐색.• 중개 연구: 기초 연구에서 발견한 지식을 임상 적용 가능한 형태로 발전.• 임상 연구: 인체 대상 시험(Phase I~III)을 거쳐 최종 제품(신약, 의료기기 등)이 상용화되는 단계.그러나 실제로 기초 연구에서 얻은 지식이 제품화나 상용화로 이어지는 비율은 매우 낮습니다. NIH(미국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전임상 단계에서 실패하는 프로젝트가 전체의 80~90%에 달하며, 1,000개 약물 후보물질 중 FDA 승인을 받는 것은 단 1개(약 0.1%)에 불과합니다.1.2 실패의 원인: “Valley of Death”중개연구 단계에서 연구가 좌초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연구 자금 부족: 후속 임상시험으로 이어지려면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데, 기초 연구자가 이를 얻기가 쉽지 않습니다.연구자와 임상의 간 협업 부족: 실험실(기초과학)과 임상현장(의료진)의 목표·평가 체계가 달라 연구개발 과정에서 의견 교류가 원활하지 않습니다.연구 결과 재현성·신뢰성 부족: 논문으로 발표된 기초 과학 결과를 임상 현장에 적용하려 할 때, 재현성이 떨어져 실패하는 사례가 많습니다.2. 탈중앙화 과학(DeSci)란 무엇인가?2.1 DeSci 정의DeSci(Decentralized Science)는 웹3 기술(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DAO 등)을 접목해 새로운 과학 연구 모델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입니다.• DAO: 분산형 자율조직을 통해 연구 자금 조달, 의사결정 등을 투명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조건부 펀딩(연구 마일스톤 달성 시 자동 지급)이나 IP(지식재산권) 토큰화 같은 다양한 기능을 자동화합니다.• 블록체인: 연구 기록, 데이터, 논문 등을 변경 불가능한 형태로 공개/보관하여 재현성·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2.2 시장 규모와 전망DeSci 분야는 아직 초기 단계로, 코인마켓캡/코인게코 등에서 추적되는 프로젝트 수가 50여 개에 불과합니다. 시장 시가총액도 약 17.5억 달러 수준으로, AI/크립토나 DeFi 등 다른 서브 섹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그러나 기초 연구와 임상 연구를 잇는 중개연구 영역에서 DeSci가 제공하는 협업·자금 조달·데이터 관리 혁신은 “Valley of Death” 문제를 해결할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3. DeSci가 “Valley of Death”를 해결하는 방식앞서 살펴본대로, 전통적 과학 연구가 좌초되는 원인은 (1) 자금 부족, (2) 협업 결여, (3) 낮은 재현성 등이었습니다. DeSci가 이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표로 간략히 정리해 봅시다.문제DeSci 솔루션자금 부족- DAO 기반 공동 자금 조성 (Stakeholder Alignment)- 스마트 컨트랙트로 마일스톤별 펀딩- 지식재산(IP) 토큰화로 투자자·연구자 간 인센티브 공유협업 결여- DAO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연구자·임상의·투자자)- 투명한 거버넌스·투표- IP-DAO 등을 통해 이익 배분 구조 설계재현성·신뢰성 부족- 블록체인에 연구 데이터·실험 설계를 기록(불변성 확보)- 오픈 접근(Open Access)으로 연구 성과 공유- 분산 저장(Arweave 등) 통해 데이터 무결성 보장3.1 자금 부족: DAO & 스마트 컨트랙트• DAO 형태로 자금을 모으면, 환자·연구자·투자자 등 다양한 주체가 공통 목표(임상 단계 진입→상용화→수익 창출)를 가지고 협력하게 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연구 마일스톤별 자동 펀딩을 진행할 수 있어, 연구 진행 상황에 따라 자금이 배정됩니다.• 연구 성과(IP)를 토큰화하면, DAO 참여자들은 지식재산권(IP)을 공동 소유·분할 소유(fractional ownership)할 수 있습니다.3.2 협업 결여 해소: DAO 활용한 이해관계 정렬• DAO가 기본적으로 지향하는 합의 기반 의사결정 구조는 연구자와 임상의 간 “공동 목표”를 설정하기 좋습니다.• 예: 간암 연구 DAO가 결성되면, 실험 디자인에서 임상의의 피드백이 반영될 수 있고, 기초과학자들도 임상적 요구사항을 명확히 인지해 실용적 결과물을 도출하도록 유도됩니다.• 또한, 논문 피어리뷰를 인센티브화하거나 온체인 평판 시스템을 적용해 협업을 장려할 수도 있습니다.3.3 재현성 강화: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관리• 실험 과정, 결과,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거나 분산 스토리지(예: IPFS, Arweave, Filecoin 등)에 저장해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연구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면, 다른 연구자들이 같은 조건을 재현하기 쉬워지고, 잘못된 데이터나 실험 방법도 빠르게 검증·수정할 수 있습니다.• 오픈 액세스 학술지(ResearchHub 등)와 인센티브 기반 피어리뷰를 결합해 “모든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커뮤니티가 검증·재현”하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4. DeSci 생태계 개요DeSci 프로젝트는 크게 네 분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인프라(Infrastructure): DAO 형성, IP 토큰화, 법적 틀 구축, 펀딩 플랫폼 등연구(Research): 실질적 연구 활동을 진행하는 DAO 및 커뮤니티(예: Longevity DAO, HairDAO 등)데이터 서비스(Data Services): 오픈 액세스 출판, 피어리뷰 플랫폼, 분산 데이터 관리 솔루션밈(Memes): 소규모 투자자나 대중 인식을 유입하기 위한 밈코인, 모금 등4.1 인프라• IP 토큰화: IP-NFT를 통해 지식재산권을 블록체인 상에서 보관·거래·공동 소유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Molecule 등).• DAO 형성: 연구 분야별 DAO(Ex. BioDAO, VitaDAO) 만드는 툴킷이나 로드맵을 제공합니다(BIO protocol 등).• 펀딩 플랫폼: 크라우드펀딩 기반 연구 자금 조달 플랫폼(Catalyst, bio.xyz 등)이 존재하며, 각각 다른 연구 테마(예: 신약개발·화합물 테스트·DAO 런치 등)에 특화됩니다.4.2 연구• Grassroot 커뮤니티: DeSci Global, DeSci Collective처럼 전 세계적으로 행사·밋업을 열어 DeSci 인식을 확산합니다.• 분야별 DAO: 특정 질환 또는 테마(장수, 머리카락, 여성 건강 등)에 집중하여 연구 주도. DAO 내에서 이해관계자를 모으고 자금을 조달해 실험을 진행합니다.4.3 데이터 서비스• 오픈 액세스·피어리뷰: ResearchHub 등에서 논문을 공개하고 리뷰·검증 시 토큰 인센티브 제공. 이는 기존 발행·리뷰 체계의 불투명성과 비효율을 줄여줍니다.• 데이터 무결성·접근제어: IPFS, Filecoin, Arweave 같은 분산 스토리지로 연구 데이터를 저장해, 변조 방지와 신속 검색, 사용 권한 관리를 지원합니다.4.4 밈(Memes)• 밈코인을 활용해 대중 참여를 유도하거나, 작은 단위라도 연구 자금을 모금하는 사례가 존재합니다. DeSci는 기존 학계 이외에도 일반 대중의 흥미를 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과도한 투기적 접근에 대한 주의도 필요합니다.5. 향후 과제와 전망5.1 주로 기초·중개연구 단계에 집중현재 DeSci 프로젝트들은 대개 기초·중개연구 영역에서 활발히 움직이고 있습니다. 임상 단계로 넘어가면 중앙화된 규제기관(FDA 등) 승인, 실제 대형 제약사와 협력 등 중앙화된 절차가 필수이기에, DeSci만으로 전 과정을 커버하기는 아직 제한이 있습니다.5.2 규제·법적 문제DAO의 법적 지위가 명확하지 않아, 구성원들이 법적 책임을 질 위험이 있습니다. 예: 2023년 미국 법원에서는 “Ooki DAO는 법인으로 간주 가능”이라는 판결이 나와, DAO 구성원도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DAO 참여를 망설이게 만들 수 있는 요소입니다.5.3 종합그럼에도 DeSci는 이미 충분히 기초·중개연구 단계에 변화를 일으킬 만한 성숙도를 지녔습니다. 자금 조달, 협업, 데이터 투명성 등에서 전통적 방식을 보완하여 “Valley of Death”를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큽니다. 실제로 당장 상용화 제품을 내놓기에는 더 많은 규제 협업이 필요하겠지만, 적어도 초기 연구 실패율을 낮추고, 성공 확률을 끌어올릴 수 있다면, 인류가 새로운 치료법과 과학적 발견을 얻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결론DeSci(탈중앙화 과학)는 웹3 기술을 통해 기초 과학과 임상 연구 사이의 단절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연구 자금 부족·협업 결여·재현성 문제 등 기존 과학계의 구조적 문제점을 완화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DAO 기반 공동 자금 조성과 의사결정, IP 토큰화, 분산형 데이터 관리, 오픈 액세스·피어리뷰 등 다양한 솔루션들이 이미 실험 단계에 들어가 있으며, 특히 “Valley of Death” 구간에서 연구를 더 효율적으로 이어가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물론 임상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반드시 규제기관·제약사 등 중앙화된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업이 필요하고, DAO의 법적 지위 등 풀어야 할 숙제가 남아 있습니다. 그럼에도 DeSci는 기초·중개연구 단계에서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 만큼 성숙했으며, 이 작은 시작이 과학 연구 전반의 생산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Referenceshttps://www.binance.com/en/research/analysis/from-challenges-to-opportunities-how-desci-reimagines-scienceDisclaimer: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일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추천이나 법률, 사업, 투자, 세금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거나 회계, 법률, 세무 관련 지침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특정 자산에 대한 언급은 단지 참고용 정보일 뿐, 투자 권유의 의미가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의견은 관련된 기관이나 조직, 혹은 개인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고팍스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고팍스(GOPAX)
2025.02.2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월 1일(현지시간)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가상자산을 비롯한 위험자산 가격이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고율의 관세가 적용되면 자연스럽게 물가 상승이 일어나는데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낮추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전체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한때 고점 대비 10% 이상 급락했습니다.그러나 이와 같은 하락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가상자산 상승장이 끝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첫째로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 등에 연동돼 가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가상자산입니다. 이 때문에 스테이블코인은 가상자산 시장에서 현금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현재 가상자산 거래의 약 80%가 스테이블코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상자산 분석 기업 크립토퀀트는 2월 1일 이에 대해 "2024년 11월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이 370억달러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 이후인 2월 3일 기준으로도 전체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약 2173억달러를 나타내며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 이는 하락에도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죽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라이언 왓킨스 전 메사리 애널리스트는 지난 1월 이에 대해 "2024년 4분기 기준 스테이블코인 발행량이 1920억달러에 도달했다"며 "이는 미국 전체 통화량의 1%에 달하는 수치"라고 했습니다. 또 "스테이블코인은 현재 달러 통화 공급량 부문에서 유리한 입지를 선점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통화량의 10%에 도달하는 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현재 이더리움 및 솔라나 기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분석 기업 룩온체인은 앞서 1월 이에 대해 "1월 말 기준 이더리움 기반 시가총액은 20억6000만달러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솔라나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20억4000만달러 증가했다"고 전했습니다.둘째로 비트코인 채굴 산업이 계속해서 활발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채굴은 비트코인 생산의 첫 단계를 담당하는 만큼 전체 가상자산 시장에 중요한 의미를 갖게 하는 산업입니다. 비트코인 채굴 산업은 현재 미국에서 가장 크게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최근 시장 침체에도 비트코인 채굴 산업이 활발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것은 산업 동력이 아직 죽지 않았다는 것을 뜻합니다. 실제로 비트코인 해시레이트는 2025년 들어서도 계속해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해시레이트란 비트코인을 채굴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동원된 연산 처리 능력의 총합을 의미합니다.특히 최근에는 미국 채굴 기업과 관련한 긍정적인 뉴스가 지속적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일본 IT 기업 소프트뱅크는 지난 1월 나스닥에 상장된 비트코인 채굴업체 사이퍼마이닝 보통주 1040만주(5000만달러 상당)를 매수했습니다. 이는 미국 채굴 기업에 소프트뱅크와 같은 대형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또 가상자산 분석 기업 글래스노드의 지난 1월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 채굴자가 얻는 수익을 나타내는 해시프라이스(Hash Price)가 최근 한달 사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채굴자 수수료 증가에 따른 것으로 채굴자들의 자금 운용 규모가 커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특히 최근에는 채굴 산업이 다각화되면서 채굴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 비트코인 채굴 기업 비트팜스는 인공지능(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분야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비트팜스는 이 분야 전문 컨설턴트를 고용해 북미 모든 사이트에 대한 타당성 분석을 진행하고 글로벌 HPC 및 AI 전략에 대한 조언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이들 컨설턴트는 가속화된 판매 및 개발 전략을 구축하고 잠재적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마케팅 작업을 지원하게 될 예정입니다. 비트팜스는 이에 대해 "HPC 및 AI 계약은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현금흐름 및 수익 스트림을 제공한다"며 "채굴 사업의 운명은 비트코인의 유연한 상승 잠재력에 따라 이를 계속 현금화해 주주들에게 장기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강력하고 회복력 있는 포트폴리오 구축에 달려있다"고 설명했습니다.셋째로 트럼프 행정부 2기 아래에서의 가상자산 정책 효과는 아직 제대로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는 향후 전개에 따라 가상자산 시장이 수차례 주목받을 여지가 아직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그의 공약 중 하나인 '비트코인의 전략적 비축자산화'는 시장의 큰 관심을 모았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공개된 바가 없습니다. 또 이제 막 행정명령이 이뤄져 효과의 추이를 지켜봐야 하는 정책들도 있습니다.예를 들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 1월 가상자산보유회계지침(SAB121)을 폐지했습니다. 이 지침은 은행이 대차대조표에 가상자산을 부채로 나타내도록 합니다. 이 때문에 미국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이 지침이 사실상 은행의 가상자산 보유를 막는 것으로 봤습니다. 그러나 이 지침이 폐지되면서 은행이 가상자산을 보유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습니다. 은행의 가상자산 보유는 시장 성장을 엿볼 수 있는 큰 기회 중 하나이기 때문에 많은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들이 이 지침 폐지로 나타날 효과에 주목하고 있습니다.이처럼 전문가들은 아직 가상자산 시장 상승 사이클이 끝나지 않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들의 분석처럼 가상자산 시장이 이번 상승 사이클에서 유의미한 성장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본 자료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에 대하여는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없으며, 투자자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입니다.- 투자 여부, 종목 선택, 투자 시기 등 투자에 관한 모든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주)빗썸에 있으며,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빗썸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
빗썸(bithumb)
2025.02.26
가상자산 시장은 전통금융 시장의 대안으로 주목받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유동성 부족과 높은 변동성이라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전통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온 시장조성자(Market Maker)가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가상자산 전문 시장조성자 업체들이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유동성 공급과 시장 안정화를 이끌고 있으나, 국내 시장은 법적·제도적 제약으로 인해 시장조성자 활동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본 리포트는 시장조성자의 개념과 전통금융 시장에서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고, 가상자산 시장에서 이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이유를 살펴본다.☞ 코빗 리포트 원문 바로가기법적 고지서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아니라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리서치팀이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당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정확성이나 완벽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따라서 본 자료를 이용하시는 분은 자신의 판단으로 본 자료와 관련한 투자의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본 자료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본자료에 나타난 정보, 의견, 예측은 본 자료가 작성된 날짜 기준이며 통지 없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 .과거 실적은 미래실적에 대한 지침이 아니며 미래 수익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 원본의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당사는 본 자료를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의견은 자료 작성자의 개인적인 견해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에 나타난 견해는 당사의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본 자료와 다른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당사는 본 자료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않습니다. 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의견은 자료 작성자 개인적 견해로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당사에게 있고,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될 수 없습니다.
코빗(Korbit)
2025.02.26